**기 술 방**/<기술자료>

GEAR HEAD (감속기)

미래로보텍 2008. 4. 13. 15:17
GEAR HEAD (감속기)

1. 감속기의 특징

(1) 2축이 평행한 경우 : 평치차, 헬리컬치차, 내치차 등.
(2) 2축이 한점에서 교차하는 경우 : 베벨치차 등.
(3) 2축이 엇갈리는 경우 : 나사치차, 워엄치차 등
2. GEARD MOTOR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기어의 종류

GEARED MOTOR에 사용하는 GEAR는 각 MAKER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평치차(SPUR GEAR), 헬리컬치차(HELICAL GEAR), 워엄치차(WORM GEAR), HYPOID BEVEL GEAR등이 사용됩니다.
감속기에서 물림율 및 소음, 원가절감등의 이유로 헬리컬치차를 1단에 사용하고 그 외는 평치차를 사용하는 것이 현재 GEAR HEAD의 일반적인 구성이나 효율과 출력측의 방향 전환을 고려하여 워엄치차나 HYPOID치차를 사용하는 GEAR HEAD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평치차나 헬리컬치차 보다는 가격이 높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3. 감속기란

GEAR를 이용한 속도 변환기로써, 구동원(MOTOR)의 회전수를 필요한 회전수로 감속하는 동시에 큰 토르크를 얻을 수있는 기구적인 장치입니다.

(1) 감속비
서로 맞 물린 치차에서 피동치차의 잇수를 구동치차의 잇수로 나눈 값으로 일반적으로 감속비는 각 MAKER에 따라 다르나 보통 1:3 ∼ 1:200과 중간 감속기 1:10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MOTOR와 감속기의 조합 방법
감속기는 각 MOTOR의 출력에 따라 감속기를 다르게 사용합니다. 이는 각 MOTOR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SIZE의 감속기가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6W는 가로*세로 60mm, 15W는 가로*세로 70mm, 25W는 가로*세로 80mm, 40W에서 200W까지는 가로*세로 90mm가 사용됩니다.

(3) 회전수와 회전 방향
감속기를 조립한 경우 회전수는 다음식에 의하여 계산 됩니다.

회전수 NG = NM / I (rpm)

NG : 감속기의 회전수 (rpm)
NM : MOTOR의 회전수 (rpm)
I : 감속비

감속기 출력축의 회전 방향은 감속비에 의해 MOTOR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것과 반대 방향인 것도 있습니다.

⼇ 감속기의 출력측 회전방향
감속비 3 3.6 5 6 7.5 9 10 12.5 15 18 20 25 30 36 50 60 75 90 100 120 150 180
6W ~ 40W
60W ~ 200W

0
색의 감속비는 MOTOR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고 기타는 MOTOR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입니다.

(4) GEAR HEAD를 조합한 경우의 출력 TORQUE
감속기를 조합한 경우의 출력 TORQUE는 다음식에 의하여 계산 됩니다.

TORQUE TG = TM * i * Շ

TG : 감속기 TORQUE (Kg-cm)
i : GEAR HEAD의 감속비
TM : MOTOR의 TORQUE (Kg-cm)
Շ : GEAR HEAD의 전달 효율

⼇ 감속기의 전달 효율
감속비 3 3.6 5 6 7.5 9 10 12.5 15 18 20 25 30 36 50 60 75 90 100 120 150 180
6W ~ 40W 81% 73% 66%
60W ~ 200W 81% 73% 66% 59%

(5) 감속기의 최대 허용 TORQUE
GEAR HEAD의 출력 TORQUE는 감속비에 비례하지만 GEAR의 재질등 기타 조건에 의해 감속기에 미치는 허용 TORQUE는 한정되는데 이것을 최대 허용 TORQUE라 하고, 감속기의 크기, 감속비에 따라 규정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INDUCTION MOTOR 40W와 감속비 1 : 100를 조합 했을 때의 정격 TORQUE는 TG = TM * i * Շ 에서 TG = 3.41 * 100 * 0.66 = 165 (Kg-cm)가 됩니다.
그러나 계산상 165 Kg-cm라 하더라도 40W 감속기의 최대 허용 TORQUE는 100 Kg-cm로 규정하므로 이 이상의 부하에서 사용하면 안됩니다.

(6) 감속기의 수명

TYPE OF LOAD SERVICE FACTOR
5hr/DAY 8hr/DAY 24hr/DAY
UNI FORM 0.8 1.0 1.5
LIGHT IMPACT 1.2 1.5 2.0
MEDIUM IMPACT 1.5 2.0 2.5
감속기의 수명은 보통 축을 지지해주는 수단에 의해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는 부하가 변하는 경우가 많아, 그 같은 경우 경험적인 SERVICE FACTOR를 사용 합니다.
예를들면 보통 부하에서 8시간/일 연속 운전인 경우 (감속기 온도 50°C이하) BALL BEARING TYPE은 5,000시간, METAL TYPE은 2,000시간으로되며, 기타 조건으로 사용 할 때에는 SERVICE FACTOR를 고려하여 최대 허용 TORQUE가 큰 MOTOR와 감속기를 선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7) 허용 OVER HANG 하중과 THRUST 하중
감속기 출력축에서의 전달 기구인 체인, 치차, 벨트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OVER HANG 하중이 걸리며 OVER HANG 하중은 감속기에 직접 부하로 작용하여 감속기 수명에 영향을 줍니다.
OVER HANG 하중은 다음의 식에서 구할수 있습니다.

OVER HANG 하중 W = K * T * f / r

W : OVER HANG 하중 (Kg)
하중 계수 K
CHAIN SPROCKET 1
GEAR 1.25
V-BELT 1.5
PLAT-BELT 2.5
K : 구동 방법에 의한 하중 계수
T : GEAR HEAD 출력축에 있어서 전달 동력 (Kg-cm)
f : SERVICE FACTOR
r : 치차, PULLEY 등의 유효 반경 (cm)

산출한 OVER HANG 하중치가 허용치를 초과하면, 축수의 단기 파손, 출력축의 휨, 반복 하중에 의한 피로 파손을 가져오므로 주의하여야 하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OVER HANG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하여 합니다.
또한 출력축에 직접 부하를 취부하는 경우에는 편단 하중 때문에 GEAR HEAD에 가깝게 부하를 취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달 기구에 HELICAL GEAR, WORM GEAR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OVER HANG 하중과 동시에 TRUST 하중이 작용하므로 TRUST 하중도의 허용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사용하여야 합니다.
⼇ OVER HANG 하중 및 THRUST 하중
MODEL GEAR RATIO MAXIMUM
PERMISSIBLE
TORQUE
(Kg-cm)
PERMISSIBLE
OVER HANG
LOAD(Kg)
PERMISSIBLE
THRUST LOAD
(Kg)
6W 3 ~ 18 1 ~ 6 5 3
25 ~ 180 9 ~ 30
25W 3 ~ 18 2 ~ 25 20 5
20 ~ 180 30 ~ 80
40W 3 ~ 18 4 ~ 40 30 10
20 ~ 180 40 ~ 100
60W
120W
3 ~ 10 8 ~ 40 60 15
12.5 ~ 20 40 ~ 80
25 ~ 60 50 ~ 200
75 ~ 180
150W
200W
3 ~ 200 18 ~ 300

4. 용어 해설

(1) OVER RUN
전원을 OFF시킨 순간부터 정지할때까지의 MOTOR의 회전을 각도(회전수)로 표시한 것입니다.

(2) GEAR HEAD

1) 감속비

GEAR HEAD가 MOTOR의 회전수를 감속하는 비율로 MOTOR 회전수는 GEAR HEAD 출력축의 회전수에 있어서는 MOTOR 회전수의 1/감속비로 되고 GEAR HEAD의 감속비에는 50Hz, 60Hz에서의 MOTOR 회전수가 다르기 때문에 GEAR HEAD 출력축의 회전수를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3, 5, 7.5, 12.5, …의 계열과 이것들의 1.2배 감속비인 3.6, 6, 9, 15, 18, …의 계열이 있습니다.
주파수 지역에따라 출력축 회전수를 동일하게 할수 있으며 50Hz, 60Hz 지역에서나 관계없이 전체의 감속비를 사용 할수 있습니다.

2) 최대 허용 TORQUE

GEAR HEAD에 걸 수 있는 최대 부하 TORQUE로 GEAR HEAD에 사용되는 치차, 축수의 재질, 크기등의 기계적 강도에 의해 결정 되므로 GEAR HEAD의 종류, 감속비에 의해 다릅니다.

3) SERVICE FACTOR

GEAR HEAD의 수명을 추정 할때 사용하는 계수로 부하의 종류와 사용 조건에 대해서 수명시험 결과로 결정된 수치입니다.

4) 전달 효율

MOTOR에 GEAR HEAD를 조합하여 TORQUE를 증폭 시킬때의 효율로 단위는 %로 표시 합니다.
GEAR HEAD에 사용되는 축수, 치차의 마찰 및 윤활유의 저항등으로 결정되며 전달 효율은 GEAR HEAD의 감속 단수 당 90%를 고려하여 감속 단수가 적은 2단은 81% 정도이며, 감속비가 클수록 감속 단수가 증가하여 3단은 73%, 4단은 66%, 5단은 59%로 저하 됩니다.

5) OVER HANG 하중

GEAR HEAD 출력축에 직각으로 걸리는 하중으로 GEAR HEAD에 걸릴 수 있는 최대 하중을 허용 OVER HANG 하중이라고 하고 GEAR HEAD의 종류 및 하중이 걸리는 위치에 따라 다릅니다.
치차, 벨트등 구동 장치의 장력등이 OVER HANG 하중에 해당 합니다.

6) THRUST 하중

GEAR HEAD 출력축에 축 방향으로 걸리는 하중으로 GEAR HEAD 출력축에 걸릴 수 있는 THRUST 하중의 최대치를 허용 THRUST 하중이라고 하고 GEAR HEAD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 전동기의 선정

(1) MOTOR 선정의 개략
MOTOR에는 전원의 종류, 단상의 경우는 시동 방식의 종류, 회전자의 종류, 후레임, 브라켓트 등 외피 구조의 종류 등 많은 종류가 있으며 그것들은 전부 절연의 방식, BEARING 방식, 출력, 회전수, 전압, 주파수 등에 의해 세분화됩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많은 MOTOR에 대해 사용 조건을 검토하고 그중 제일 적합한 것을 선정 사용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때 주의 할 것은 필요 조건, 시동토오크와 정동토오크, 효율과 역율등 그 필요도에 따라 순위을 정하여 가장 경제적이고 성능이 좋은 MOTOR를 선정하는 것으로 확인할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전원의 상수  2) 전압            3) 주파수      4) 회전자의 종류
5) 용량         6) 연결 방식       7) 주위 환경   8) BEARING 방식
9) 시동 방식   10) 외피 보호 형식 11) 기타
(2) 단상 MOTOR와 3상 MOTOR의 선정
전원이 단상뿐인 경우에는 할 수 없지만 단상, 3상 어느 쪽이든지 사용 할 수 있다면 3상이 MOTOR가 가격도 대체적으로 싸고 효율도 높으므로 경제적입니다.
일반적으로 단상은 출력이 1KW 미만의 것이 사용됩니다.
(3) 절연물 종류의 선정
절연은 일반적으로 앞의 <사용주위 온도와 MOTOR의 온도상승>에서 설명한것과 같이 E종을 사용하며 E종은 MOTOR를 운전 사용하여 MOTOR의 COIL의 온도가 120。C이하이라면 과열로 인한 MOTOR가 탄다던가, MOTOR의 수명을 현저히 단축되는 일이 없이 사용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MOTOR를 사용하는 주위온도는 특별히 지정되지 않는 한 40。C 이하로 정해져 있습니다.
절연물의 수명을 길게 하기 위하여 강제적으로 냉각 방식을 사용하여 온도 상승을 낮게 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 MOTOR의 크기가 크게 된다든지 냉각 방식이 복잡하게 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일반적으로 특별히 지시하지 않은 경우에는 E종으로 제작되고 아래 사항과 같이 특별한 경우에는 F종이나, H종으로 제작됩니다.
주위 온도가 40。C보다 높아 E종 절연으로 제작하는 것이 곤란하던지, 제작해도 가격이 상당히 비싸지는 경우나 주위 온도가 40。C이하지만 MOTOR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목적인 경우(예를 들면 전원이 불안정하여 신뢰성을 높이기 위함)의 목적으로 F종을 지정하는 경우 E종과 같은 온도 상승으로 F종 절연재료를 사용 할 것을 지시합니다.
MOTOR를 사용 장소나 취부상 MOTOR의 중량이 문제가 되어 최소형, 경량을 목적으로 할 경우나 부하의 관성이 대단히 크거나, 시동, 정지를 빈번하게 사용하여 전동기의 온도를 E종 절연물의 허용 한도 이하에서 제한하는 것이 곤란 할 경우에 사용합니다.
(4) 특수 환경에서의 선정
일반적으로 주위 온도 40。C이하로 정해져 있고 40。C이상이 되면 그 초과 한 것만큼 MOTOR의 온도 상승은 낮게 하여야 합니다. 예를 들면 개방형의 E종 절연에는 MOTOR의 허용 온도 상승이 105。C - 주위온도가 되며 주위온도가 높을수록 MOTOR의 허용 온도 상승 범위는 좁게되어 MOTOR가 크게 되며 절연 계급도 올려서 제작되지 않으면 안됩니다.
또한 MOTOR의 주변의 공기가 여러 가지 이물을 포함하고 있을 때에는 그것에 대한 특수한 보호 형식을 필요로 합니다.
습기가 높은 경우에는 특수한 절연 바니쉬 절연 재료를 사용 할 필요가 있으며 정지 시간이 길 경우에는 방습 수단을 강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옥외나 그것에 가까운 장소에 사용할 경우에는 비나 눈에 대응하기 때문에 옥외형이 적합하고 용량이 큰 경우에는 방말 옥외형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부식성의 가스 습기를 포함한 경우는 통상 전폐형이 적합하고 절연, 외피주물 등에도 특별히 고려 할 필요가 있으며 폭발성이 위험한 가스를 포함한 경우는 특수 구조의 방폭형 MOTOR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먼지가 많은 곳은 전폐형이 적당하지만 실이 많이 날리는 방적 공장에는 개방형으로 하고 권선 부분을 청소하기 쉬운 구조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병원, 학교, 사무소, 극장 등의 장소에는 특히 진동, 소음이 작은 MOTOR가 필요해서 그것 때문에 사이렌사를 부착한 특수 구조로한 경우도 있습니다.
(5) 극수와 회전수의 선정
MOTOR의 극수는 N과 S를 한조(2극)로 하여 2의 배수로 증가하며 MOTOR의 회전속도는 이 극수와 주파수에 따라 정해지고 그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동기 속도 = 120 X f(주파수:Hz) / 극수(P) 또한 극수와 회전수의 관계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극 수(P) 동 기 속 도
50Hz 60Hz
2 3,000 3,600
4 1,500 1,800
6 1,000 1,200
8 750 900
10 600 720
12 500 600
그러나 주의해야 될 것은 MOTOR가 실제 운전 될 때의 회전속도는 슬립의 관계로서 동기속도보다 약간 늦어지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4극 MOTOR의 60Hz시 동기속도는 1800rpm이 되지만 실제 무부하시의 속도도 손실에 의해서 약간 늦어지며(대략 1790rpm ∼ 1770rpm이며, REVERSIBLE MOTOR와 같이 간섭을 받는 것은 더욱더 손실을 받아 1730rpm까지 늦어지며, 출력이 적은 MOTOR는 더욱더 늦어지는 것도 있습니다.) 대개 MOTOR의 명판에 표시되어 있는 전부하 회전수는 1500rpm ∼ 1720rpm 정도로 이 차이에 의한 동기속도의 비율을 슬립이라고 합니다.
또 MOTOR의 극수, 회전수, 출력, 회전력(토오크)의 관계에서 보면 MOTOR의 출력은 회전력(토오크) X 회전속도에 비례하지만 회전력(토오크)은 출력 + 회전속도에 비례하며, MOTOR의 극수와 회전수는 반비례합니다.
이상에서 같은 출력의 MOTOR인 경우 극수가 적을수록 회전속도는 빠르게되고 동시에 토오크는 적게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전동기의 시험과 검사

MOTOR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검사를 통하여 품질을 평가하고 MAKER에서도 최종 판매 전에 다음의 검사를 통해 출하 여부를 판가름합니다.

(1) 구조 외관 검사
① 외관 검사 및 BEARING 검사
구조의 각 부를 점검하고 흠, 휘어짐이 없는지 또 녹이 발생하지 않았는지 등과 체결 볼트는 충분히 체결되었는지, 명판은 바르고 기재사항은 빠지지 않았는지 등을 검사합니다.
BALL BEARING, METAL등 MOTOR 단독 무부하로 20분에서 30분 정도 충분히 운전하여 BALL BAERING은 구리스가 환전히 도포되고, MEATAL TYPE은 OIL 유막이 완전히 형성 된 상태에서 소음, 진동, 발열 등이 없는 가를 확인합니다.
BEARING 이외의 원인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의 유무는 BEARING 검사를 행한 후에 기계적 진동 및 소음을 검사합니다.
② 회전자 발란스가 불량이면 회전이 원할치 못하며 진동의 원인이 됩니다.
③ 치수 검사
외관 도면에 의해 주요 부분의 치수를 검사하며, 특히 취부 치수, 축경, 중심 높이, 축 길이, 축의 휨등의 이상이 없는가를 확인합니다.
(2) 무부하 특성 검사
정격 전압, 정격 주파수를 인가하여 전압계, 전류계, 전력계, 주파수계 등의 계측기를 이용하여 전동기 사양서에 의한 규격치를 검사합니다.
(3) 절연 내력 검사
기기에 전류가 통하는 도전와 대지사이 또는 전류가 통하는 도전부분 상호간에 절연의 고전압에 의한 파괴 강도를 시험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KS 또는 전기용품 안전 관리 법의 규정에 의해 사용 전압이 150V이하의 전압에서는 1200V를 1분간, 150V이상의 전압에서는 1500V를 1분간 가하여 시험하지만 보통 MAKER 양산시에는 시간 단축을 위하여 규정 전압를 120% 상승한 전압에서 1초간 가하여 검사하며 절연 내력검사는 절연내압검사라고도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1800V의 1초간으로 검사하며 이때의 차단 전류는 3mA에서 10mA로 합니다.
※ <주의> 절연 내력 검사는 고전압을 MOTOR에 인가하는 것이므로 1회만 실시하여야 하며 여러 번 실시하면 절연 파괴가 일어나 고장의 원인이 됩니다.
(4) 절연 저항 검사
전선(동선)에 전류를 흐르게 할 경우에 전류가 누설되지 않도록 재료로서 절연해야 하고 이와 같은 재료를 절연재료라하며 절연재료가 전류를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정도를 이 재료의 절연저항이라고 합니다. 즉 절연물에도 전혀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만은 아니고 전압을 가하면 필히 얼마간의 전류가 흘러 어떤 저항치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100MΩ이상으로 규격화되어 있습니다.
(5) 온도 상승 검사
앞의 <⼇ 사용 주위 온도와 MOTOR의 온도 상승>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6) 진동 검사
진동 측정시에는 MOTOR의 고정 조건이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MOTOR고정 조건은 MOTOR를 고무 또는 스프링위에 놓고 그 탄성체의 늘어짐은 10mm이상으로 하여 측정합니다.
진동의 표시는 변위(DISPLACEMENT - 진폭) 단위는 mm 또는(1/1000mm), 속도(VELOCITY) 단위는 cm/s이며 가속도(ACCELERATION)는 단위를 G나 cm/s²를 사용하며 1G = 980cm/s²입니다.
진동은 대부분 변위(진폭)을 나타내며 범용MOTOR는 아래 표의 범위에 들어가면 양호라고 봅니다.
극 수 소형 MOTOR 중형 MOTOR 대형 MOTOR
2P 10μ 이하 20μ 이하 30μ 이하
2P 5μ 이하 15μ 이하 20μ 이하
2P 5μ 이하 10μ 이하 15μ 이하
(7) 소음 검사
일반적으로 전기적 소음이나, 기계적 소음을 청각에 의해 검사를 하지만 귀의 감각은 음의 주파수에 따라 매우 달라지므로 음압의 크기로 나타내는 것은 그다지 의미가 없는 것으로 소음계를 이용하여 소음을 측정합니다.
소음 DATA는 측정 조건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항상 측정 조건을 제시하여야 하며 측정시 전기를 끊어서도 없어지지 않는 음은 기계적 소음이며 바로 없어지는 음은 전기적 소음이라고 판단합니다.
① 소음 측정시 측정기는 일반적으로 소음계, 주파수 분석기, LEAL TIME ANALYZER이 사용되며 소음계는 일반적인 소음계로 아나로그 방식과 디지탈 방식이 있으며 주파수 분석기는 통상적 소음 분석용 OCTAVE 분석기, ⅓ OCTAVE 분석기, 소음의 원인 규명을 위한 정확한 주파수 분석기용 단봉형 분석기가 사용되고 LEAL TIME ANALYZER(FFT)는 각 주파수의 분석이 동시에 이루어져 널리 쓰이고 있으며, 최근에는 DIGITAL 기술을 응용한 FFT(고속 프리에 변환) 방식 많이 사용됩니다.
② 소음 측정시에는 소음실에서 측정하는 것이 이상적으로 소음실은 잔향실과 무향실이 있으며 MOTOR를 측정 할 때에는 무향실을 사용하고 소음실에 대상의 음이 없을 때 그 상대의 음에 대한 암소음이라 하여 통상 25dB 이하로 관리합니다.
또한 소음의 측정시 고무나 스프링 등의 위나 고무줄에 매달아 50cm 거리에서 정격전압 정격주파수를 인가하여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측정장치나 측정거리는 사용자 규정에 의해 측정하기도 합니다.
③ 소음의 단위
두 개의 POWER량을 비교하여 그 비의 대수를 취한 것의 10배 된 값을 데시벨(dB)이라고 부르며 이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dB = log10 W2 / W1로 표시하고 음의 세기와 LEVEL(dB)는 기준 강도 10-16 Watt/cm2 는 1000Hz에서 인간이 감지 할 수 있는 최소치이며 음압 LEVEL(dB)은 주파수에 무관한 순 물리량이며 소음 LEVEL 또는 PHON은 보통 소음계 또는 소음계로 측정한 값입니다.
④ 청감 보정 A, B, C 특성
사람의 귀로 주파수 감도 특성을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FLETCHER-MUNSON에 의한 등감 곡선 40, 70, 100 PHON 곡선 근처에서 단순화 한 것의 역 특성을 각각 A, B, C 특성이라 하며 통상 A 특성을 사용하고 C특성은 평탄 한 것이므로 주파수 분석용으로 쓰입니다.
(8) 특성 검사
① 시동 TORQUE 검사
앞의 ⼇ 전동기의 개요에서 TORQUE란에 1Kg-cm의 TORQUE라는 것은 회전체의 반경이 1cm인 외주의 한 점에서 직각 방향으로 1Kg의 힘을 가한 경우의 회전력으로 위의 설명을 이용하여 우측의 그림과 같이 JIG를 이용하여 시동TORQUE를 측정 할수 있습니다.
즉 예를 들어 측정(스프링 저울)의 위치가 축의 중심으로부터 5cm의 거리이고 저울의 눈금이 5Kg 이었다면 중량 X 거리에 의해 5(Kg) X 5(cm) = 25(Kg·cm)가 되며 이때 주의 할 점은 토르크 레바와 스프링 저울과는 직각이 되어야 하며 이때 시동 TORQUE를 오랫동안 측정하면 온도가 상승하여 열에 의한 특성 변화가 일어나므로 온도가 변하기 전에 신속히 측정하여야 합니다.
② 부하 검사
TORQUE METER(다이나모 메타)에 의하여 부하 시험을 할 수 있으며, 적당한 브레이크나 직류 발전기에 의해 측정 할 수도 있습니다.
TORQUE METER에서 측정한 값에 의하여 출력, 효율 등을 계산 산출 할 수 있으며 요즘은 계측장비의 발달로 TORQUE METER에서 측정하면 TORQUE 뿐만이 아니라 전류, 입력, 출력, 효율, 등이 모두 출력되어 편리하게 측정 할 수 있습니다.
③ 속도-토르크 특성
일명 N-T CURVE라고도 하며 이 시험은 부하 시험과 마찬가지로 "속도 TORQUE 곡선 직시 장치"(TORQUE METER)를 사용하여 시험을 할 수 있고 아울러 측정 장비의 발달로 한번의 측정으로 시동 토르크, 정동 토르크(최대 토르크), 출력, 효율, MAIN COIL의 전류, SUB COIL의 전류, LINE 전류, 등도 함께 측정됩니다.
(9) 신뢰성 시험
신뢰성 시험이란 MOTOR의 성능을 인증하고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악조건의 분위기속에서 그 성능을 발휘하고 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용 할 수 있는 가를 시험하는 것으로 MOTOR의 종류와 사용 조건에 따라서 시험 항목이 정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