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술 방**/<기술자료>

에너지 기술용어3

미래로보텍 2008. 4. 13. 16:03

에너지 기술용어3

 

ISO

 

International Organizaton for Standardization(국제표준화 기구)의 약어. 국제적 단위·용어 등의 표준화를 추구하는 기구.

 

 LCA

 

Lift Cycle Assessment의 약어. 물품의 생산에서 폐기에 이르기까지의 자원고갈량, 환경오염량 등을 조사, 분석해 평가하는 방법.

 

 LH2

 

액체상태의 수소.

 

 MPa

 

압력단위로 메가 파스칼(mega Pascals) 로서 10기압에 해당된다.

 

 NEDO

 

New Energy and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의 약어로 일본의 신에너지 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를 말한다. 두차례의 석유위기로 탈석유대책의 필요성이 고양되었으며, 원자력이외의 에너지중 실용화 전망이있는 석유대체에너지의 효율적인 연구개발과 재정적인 지원을 목적으로 1980년 정부출자를 중심으로 설립되었다. 석탄의 가스화·액화, 태양광발전, 풍력, 연료전지, 신형전지저장시스템, 지열 등의 기술개발 이외에 석탄광업합리화사업, 알콜제조사업을 하고 있다. 1993 3월 에너지절약법 개정에 따라 에너지사용합리화를 위한 기술개발, 기술보급에 필요한 보조금의 교부, 정보 수집·제공 및 기술지도 등의 업무가 추가되었다.

 

 NEPP

 

National Energy Policy Plan의 약어로 미국의 에너지정책을 말한다.1977년에 제정된 에너지성(DOE) 설치법 의해, 대통령은 2년마다 이의 의회 제출이 의무화되어 있다. 1981년의 레이건 정권발족 이후 석유시장의 규제를 폐기하는 등 정부의 규제를 완화해 시장매커니즘을 중시하는 정책을 취하고 있다. 1986 3월에는 제5차 국가에너지정책이 의회에 제출되었다.

 

 NI

 

National Income의 약어로 국민소득. 주어진 기간(일반적으로 1)동안에 봉급, 자본이자 이익(명목수입)을 포함하는 국민들의 모든 수입의 합.

 

 NNP

 

Net National Product의 약어로 국민 순생산. GNP-감가상각비

 

 NYMEX

 

New York Mercantile Exchange의 약어로 뉴욕상품거래소를 말한다. 여기서 이루어지는 원유의 선물거래가격이 세계 석유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OAPEC

 

Organization of Arab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아랍석유수출기구)의 약어.1986년 당시의 온건 3개국인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리비아에 의해 설립되었다. 본부는 쿠웨이트에 있으며, 현재의 참가국은 10개국. OPEC가 석유정책을 협의하는데 반해 OAPEC은 아랍제국의 이익을 위해, 예를 들면 탱커수리용 도크의 건설과 해운 등 실제의 비지니스를 수행한다.

 

 OECD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경제협력개발기구)의 약칭.구주부흥계획(마샬플랜)을 담당했던 구주경제협력기구(OEEC)의 뒤를 이어 OEEC 18개국에 미국, 캐나다가 참가해 1961 9월에 발족되었다. 주요목적은 가맹국의 협력에 의한 경제성장, 무역확대, 개발도상국 원조를 추진하는 데 있으며 현재 24개국이 가입해 있다.

 

 OPEC

 

Organization of Petroleum Exporting Countries(석유수출기구)의 약칭. 1960 9월 이라크,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베네수엘라, 이란의 5개국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본부는 빈에 있다. OPEC설립의 직접적인 원인은 1959년과 1960 2회에 걸친 원유공시가격의 대폭적인 인하가 메이저에 의해 일방적으로 행해진 데에 있는데 산유국간의 석유정책협조와 이를 위한 정보수집, 의견교환 등에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의 가맹국은 위 5개국 이외에 카타르, 인도네시아, 리비아, 아랍에미레이트 연방, 알제리아, 나이지리아, 에쿠아도르, 가봉으로 13개국이다.

 

 RDF

 

Refused Drived Fuel

 

에너지 기술용어2

 

Fuel NOx

 

연료 중의 질소가 산화하여 생성되는 질소산화물.

 

 G.G 원유

 

Government to Government Crude Oil의 약자로서 정부간의 거래원유를 말한다. 산유국의 지분원유에 대하여 산유국 정부 내지 국영석유회사와 소비국정부 또는 국영석유회사가 메이저 등의 석유회사를 개입시키지 않고 직접 거래를 행하는 경우의 대상원유이다.

 

 GCC

 

Gulf Cooperation Council의 약어로 페르시아만 협력협의회.1981년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카타르, 아랍에미레이트연방, 오만의 페르시아만 연안 6개국에 의해 발족되었다. 이란혁명 저지, 이란·이라크전쟁에서의 이라크 지원등으로 치안·국방면에서의 결속이 강화되었으며 이집트와의 관계개선으로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GDP

 

Gross Domestic Product의 약어로 국내 총생산, 국민소득의 크기를 측정하는 데에는 2가지 방법이 있다.그 나라의 거주자가 소유한 생산요소로부터 발생한 소득인 국민 총생산(GNP)을 이용하는 경우와 그 나라의 영역내에서 생산된 소득의 국내총생산(GDP)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대외투자가 많이 차지하는 나라에서는 이자, 배당, 이윤 등 해외로부터의 요소소득이 큰 경우 GNP GDP보다 크다.GNP=GDP-[해외로부터의 순소득(국민의 해외로부터의 소득-국민의 해외로의 지출)]

 

 GH2

 

기체상태의 수소. 실온 (정확하게는 20K 이상)에서는 압력에 상관없이 기체상태이다.

 

 GNP

 

Gross national Product의 약어로 국민 총생산, 국민경제가 일정기간에 생산한 최종생산물의 가치액의 합계이다. 이중계산을 피하기 위해 총생산으로부터 원재료, 중간생산물의 가치액을 공제한 것으로 현실의 시장가격으로 표시된다.

 

 GWP

 

Gross World Product의 약어로 세계 총생산. 단일통화제도(예를 들면 U.S. )내에서 어느 특정기간에 세계 모든 국가들의 GNP의 합.

 

 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국제 에너지기구)의 약칭. 1차 석유위기 후의 국제에너지 정세에 대응해 가기 위해 미국의 제창에 의해 1974 11월에 설립된 석유소비국의 국제기구. 사무국은 파리의 경제협력개발기구 본부내에 있으며, 현재 가맹국은 21개국. 설립당초는 OPEC의 원유공급 삭감과 가격인상에 대응하는 것이 큰 목적이지만, 최근에는 비상시의 석유유통과 대체에너지 개발협력 등에 중점이 놓여지고 있다.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기후변동에 관한 정부간 패널)의 약칭. 인간활동의 확대에 수반된 대기환경의 변화가 기후, 식량, 에너지, 수자원등 사회 모든분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경제의 지속적 성장을 저해할 지도 모른다는 공통인식하에 구체적 대처를 검토하는 정부간 회의. 1988 11월 제1회가 제네바에서 개최되어 3개의 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이 활동은 21세기 에너지정책과 환경정책의 지침이 된다.

에너지 기술용어1

 

에너지기술용어 Terminology

 

BP통계

 

국제석유자본(메이져) 중의 하나인 British Petroleum(BP)사에 의해 발표되는 에너지에 관한 통계자료, 통계는 석유를 제외한 에너지 전반에 걸쳐 있으며, 에너지통계 중에서는 세계적으로 권위가 있다.

 

CADDET

 

IEA(국제에너지기구) 산하기관으로 설치된 기관으로 정식명칭은 Centre for the Analysis and Dissemination of Demonstrated Energy Technologies(실증 에너지 기술분석 및 보급을 위한 정보센타) 이다. 1994년말 현재 가맹국은 15개국.

 

 CFC

 

화학명칭으로 Chlorofluorocarbon의 약자이다. 냉매 및 발포제로 사용되는 CFC-11은 화학식이 CCl3F이고 CFC-12 CCl2F2 그리고 CFC-13 CClF1-CCl2F로 탄소염소 및 불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이 화합물은 냉매, 발포제 및 전자산업의 세정제로서 산업체 및 생활에 크게 기여해 왔다. 그러나 이의 사용의 증가는 폐기되는 CFC의 량을 증가시켰고 이 화합물이 대기중 확산하여 성층권으로 올라가서 자외선에 의하여 오존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의 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현재는 이의 사용량을 국제적으로 감소내지는 완전히 없애는 노력을 하고 있다.

 

 CIF

 

운임·보험료 포함가격(Cost, Insurance and Freight)으로, 무역거래의 기본조건으로서 가장 넓게 채용되고 있다. 이 조건으로 수출계약을 체결한 판매자는 화물을 수출항의 본선에 선적할 때까지의 위험과 비용을 부담하는 이외에도 목적까지의 운임과 보험료를 부담해야만 한다.

 

 COP

 

Conference of Participates ; 당사국 총회

 

 D. D 원유

 

Direct Deal Crude Oil의 약자로 직접거래 원유를 말한다. 산유국이 개발한 원유, 합병·청부·PS방식에 의한 원유, 로얄티의 현물 지불원유 등을 메이저를 비롯 외국의 석유회사를 통하지 않고 소비국의 석유회사와 직접 거래하는 것을 말한다.

 

 EC

 

European Community의 약어로 구주공동체를 말한다. EC는 구주경제공동체(EEC), 구주석탄철강공동체(ECSC), 구주원자력공동체(EURATOM)의 총칭으로, 1965년에 발족해 현재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델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 영국, 덴마크, 아일랜드, 그리스, 스페인, 포르투갈의 12개국이 가맹되어 있다. 1992년에 조인된 마스트리히트 조약은 EC의 경제·화폐통합, 정치통합의 추진을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된다.

 

 FOB

 

free on board의 약어. 본선인도가격이라고 불리며 CIF와 더불어 가장 많이 이용되는 무역조건이다. 이 조건에서는 구매자의 본선에 화물을 적재할 때까지의 비용과 위험을 판매자가 부담한다.

 

에너지 기술용어6

 

 

국제벙커링(Bunkers)

 

국적이나 선박종류에 구분없이, 외항선박에 공급되는 연료유의 양. : 외항선박이나 연안해운용, 국제선을 위시한 항공기용은 제외한다.(현행 국내관행은 외국국적의 선박과 항공기용 연료공급을 모두 벙커링으로 분류함.)

 

 국제에너지기구(IEA(international Energy Agency) )

 

'74 11 OECD 이사회에서 설립을 결의, '76 1월에 발족. 회원국은 미국, 영국, 일본, 호주 등 선진국 중심의 24개국임.

 

 궁극가채매장량

 

석유와 가스가 지하 저류암층에 존재하는 양을 매장량이라 하지만, 실제로 유전을 개발하는 경우, 지표로 추출해 낼 수 있는 가채매장량은 실존하는 석유 총 매장량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이 중에서 채취의 경제적, 기술적 조건은 무시하고 물리적으로 추출이 가능한 매장량을 궁극가채매장량이라 부르고 있다.

 

 궁극매장량/최대 매장량(Ultimate or Reserves)

 

지구상에 존재하기 때문에 언젠가는 발견될 수 있는 탄화수소의 양. 이것은 기술적이나 경제적 개념, 혹은 시간적 제약에 관계없는 순수한 지질학적 개념이다.

 

 금속수소산화물(수소흡장합금)이용 수소저장(Metal hydrogen storage)

 

금속합금 형태로 수소를 저장하는 방법으로 금속의 결정 격차 공간에 수소를 채워 저장한다.

 

 기저부하용 발전소(Base-load Power Station)

 

주로 기저부하대 소요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소.

 

 기준년도(Historical Base Year)

 

감축목표 설정시 이용되는 특정 연도를 지칭. 선진국의 경우 '90년을 기준년도로 사용하고 있음.

 

 기체연료(Gas Fuel)

 

기체형태의 연료로서 천연가스, 프로판 가스, 석탄 및 석유의 가스화 연료가 있다. 기체연료의 발열량에 따라 고열가스(9,400kcal/, 천연가스 등), 증열가스(2,8003,800kcal/, 수성가스 등) 및 저열가스(1,300kcal/, 발생로 가스, 용광로 가스 등)로 나뉘어진다. 고열가스는 최근 액화천연가스로서 대량 수입되어, 발전용 및 도시가스로서 중요하게 되었으며 석탄, 석유의 가스화에 의한 합성 천연가스(SNG)가 연구 개발중이다. 중열가스인 수성가스는 메탄올로 이는 합성석유의 원료로서 중요한데 수성가스의 변성, 증열에 의한 합성 천연가스의 원료로도 된다. 저열가스는 공업용 및 발전용으로 중요하다. 장래의 크린가스로서 수소연료가 큰 연구과제로 되어있다. 기체연료는 고체 및 액체연료에 의해 탈류, 탈화되기 때문에 연소성, 취급 등의 점에 있어서 우수하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88년에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에 의해 설립됨. 기후변화에 관련된 과학적·기술적 사실에 대한 평가를 제공함.

 

 난방일수(Degree Day)

 

24시간 동안의 평균외부 온도가 기본온도보다 낮아질 경우 두 온도간의 차이로 나타낸 실험적인 단위. 난방일수는 건물의 난방 수용을 예측하는 데 쓰인다.

 

 납사 분해시설(NCC / Naphtha Cracking Center)

 

납사를 스팀과 혼합하여 800℃ 정도의 고온에서 열분해함으로써 석유화학의 기초원료인 에틸렌(Ethylene, 폴리에틸렌의 원료), 프로필렌(Propylene, 폴리프로필렌의 원료), 부틸렌(Butylene, 합성고무의 원료)을 생산하는 시설로, 부산물로는 B.T.X.도 생산됨. Naphtha Cracker 또는 Steam Cracker라 불리기도 하며 규모를 말할 때 보통 에틸렌 생산 기준으로 말한다.

 

 납사, 나프타(Naphtha)

 

넓은 의미로는 휘발성 석유류를 총칭하며, 좁은 의미로는 원유에서 직접 생산되는 유분으로 끓는점 범위 300-200℃에 있는 유분을 말함. 이중 끓는점이 100℃ 이하인 것을 경질납사(Light Straight Run Naphtha, HSR)라 함. 경질납사는 주로 용제 및 석유화학의 원료로 사용되며(NCC의 원료), 중질납사는 개질시설(Reformer)을 통해 휘발유 제조나 B.T.X. 생산에 사용된다.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

 

내연 주기에 따라서 작동하는 엔진, 열기관 내에서 연료의 연소가 실린더 내에서 일어나 이 연소생성물이 동력 왕복운동의 작동매체가 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예로서는 휘발류, 디젤 그리고 가스를 사용하는 엔진들이 있다.

 

 뉴선샤인계획

 

일본 통상산업성 공업기술원은 신에너지기술에 대해 1974년에 선샤인계획을, 에너지절약기술에 대해서는 1978년 문라이트계획을 각각 발족시켜 장기적인 시점에서 연구개발을 산·관·학의 연대 하에 추진하고, 1989년부터는 환경부하의 경감을 도모하기 위해 지구환경기술과 관련한 연구개발제도를 발족시키고 있다. 신에너지, 에너지절약 및 지구환경기술의 3가지 분야의 기술개발은 서로 중복되는 부문이 있지만 유기적인 연대를 꾀함으로써 에너지, 환경기술의 효율적, 가속적인 추진을 이루기 위해 1993년 이들 3분야를 일체화한 뉴선샤인계획을 발족시켰다.

 

 당사국(Party)

 

기후변화협약에 가입한 국가(또는 지역경제통합기구)로서 규정에 의하여 법적인 의무를 지게됨.

 

 당사국총회(Conference of the Parties, COP)

 

기후변화협약 관련 최종 의사결정기구로서 대체로 협약의 진행을 전반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일년에 한번 모임을 가짐. 1차 총회는 '95년 베를린에서, 2차 총회는 '96년 제네바에서 제3차 총회는 '97년 교토에서, 4차 총회는 '97년 아르헨티나에서 그리고 제5차 총회는 '99년 본에서 개최됨.

 

 대기질량 1조건(Air mass 1 conditions)

 

표준상태 (해발 기준고도상태) 에서 지구의 대기를 실제로 통과한 광학적, 진행거리 (대기질량)와 지구의 대기를 수직방향으로 통과한 거리와의 비가 1일때를 나타낸다. : 실제로 통과한 대기질량은 태양고도의 secθ 값에 따라 변하며, 대기의 혼탁도 (turbidity)에 비례한다.

 

 도시가스(Town Gas, City Gas)

 

도시의 중앙공급원에서 도관에 의하여 각 수요자에게 보내지는 연료가스. 근년에는 액화가스기술의 발전에 의해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경향이 있다. 천연가스는 석탄가스와 달라 유독한 일산화탄소 성분이 없고, 고열가스이므로 저장 및 수송에 있어 유리하다. 도시가스 성분은 단순화의 경향을 보이며, 수소연료가 개발되는 장래에는 도시가스도 그 주류가 될 것이다.

 

 등유(Kerosene)

 

비점 150260℃의 원유분을 말한다. 일찍부터 등화용으로 쓰여졌기 때문에 이 이름이 쓰여졌다. 용도로는 난방용, 주방용연료, 석유발동기용 연료, 용제, 기계세제용, 신호등유, 솔벤트 등유, 가스 터빈, 엔진용 연료등이다.

 

 (Furnace)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물질을 높은 온도로 가열하기 위하여 설계된 용기로서 통상적으로 내부는 내화성 물질로 장비되어 있다. : 산업용 로는 아주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바, 여기에 포함되는 것은 금속 용융, 철과 비철 금속의 열처리, 유리 생산, 도자기, 벽돌, 시멘트와 석회를 위한 가마의 가열 그리고 다수의 화학공정들이다.

 

 메이저(International Oil Majors)

 

거대자본을 배경으로 채유에서 판매에 이르는 각 단계를 세계적인 규모로 완전히 장악하여 종합경영을 하는 석유회사를 메이저 또는 국제석유자본이라 한다. 엑슨 , 모빌, 텍사코, 스탠다드 캘리포니아, 걸프,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 로얄 더취셀의 7개사를 7대 메이저(세븐 시스터즈)라 부르고 있다. 중동, 남미, 아프리카 지역에서 전면적인 국유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메이저의 자산시설은 대부분이 산유국에 접수되어 원유의 지배력도 없어졌다. 걸프는 쿠웨이트의 자원을 상실한 후 83년에 유럽대륙의 판매·정유 전 시설을 쿠웨이트 국영 석유회사에 매각하였고, 더욱이 84 3월 스탠다드 캘리포니아에 흡수, 합병되어 모습을 감추었다.

에너지 기술용어5

 

경성탄(Hard Coal Lignite)

 

수분과 회분을 제외한 계산기준으로 총열량이 24MJ/Kg(5700Kcal/Kg 또는 10260 Btu/1b) 이상인 가연성, 고체, 검은색, 화석 탄화물의 침강성 퇴적물. , 석탄의 총열량이란 30, 96% 상대습도의 공기와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회분제외기준으로 계산된 것임.

 

 경유(Light Oil)

 

원유를 증유로 얻을 수 있는 비점 200℃이상, 인화점50℃이상, 90% 유출온도 350℃이하의 연료유를 말한다. 디젤엔진용 연료로서 사용된다.

 

 경질경유 (LGO(Light Gas Oil))

 

 직류경유(Straight Run Gas Oil)

 

 경질원유(Light Crude Oil)

 

휘발유분이 상대적으로 많고 비중이 작은 원유를 말한다. 원유는 비중이 작을수록 가솔린과 나프타등 이용가치가 높은 성분을 많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로 여겨진다.

 

 경질중유(B-A/Bunker-A)

 

경유유분 70%, B-C 유분 30%를 혼합시킨 연료유.

 

 고속증식로(Fast Breeding Reactor)

 

경수로에서 사용된 연료부터 추출된 플루토늄을 연료로 하고, 핵분열 반응을 일으키는 데에 고속중성자를 주로 이용하며, 소비된 연료이상의 연료물질(플루토늄)이 생기기 때문에 우라늄 자원의 이용가능성이 크게 확대된다. 노의 냉각에는 통상나트륨이 이용된다.

 

 고압가스저장용기

 

실온에서 200기압 이하의 수소, 천연가스 등 기체상태의 가스를 저장하는 용기.

 

 고에너지연료(High Energy Fuel)

 

종래의 석유계 탄화수소 연료에 비해서, 발열량 및 연소온도가 높고 추진력이 큰 연료, 수소, 베릴리움, 붕소, 리튬 등은 단위 질량당 연소열이 크며, 알루미늄, 마그네슘, 규소등은 고온화염을 내기 때문에 액체수소나 상기 원소의 수소화물 및 단체의 비분말을 탄화수소 연료에 현탁시키거나 고체연료에 섞어서 속에 넣은 것 등이 고에너지 연료이다.

 

 고열가스(Blast furnace gases)

 

고로에서 철의 제조시 생성되는 가스연료.

 

 고열가스(High-calorie Gas)

 

 천연가스 및 SNG(합성 천연가스)가 이에 속하며, 메탄이 주성분으로 발열량은 9,400kcal/㎥정도이다.파이프라인에 의한 원거리 수송에 저당하기 때문에 파이프라인급 가스라고도 한다. 미국에서는 석탄의 가스화가 SNG제조의 목표로 되어 있다. 도시가스, 공업용 및 발전용 가스로서 중요하다.

 

 고온 코우크스(High Temperature Coke)

 

800℃ 이상의 온도에서 석탄을 건류하고 남은 고체 잔유물. 800℃라는 최저온도는 전세계적으로 일정하지는 않다. 어떤나라(프랑스, 독일어권 국가)에서는 경성탄의 경우 1000, 갈탄의 경우 900℃를 최저온도로 잡는다.

 

 고체연료(Solid Fuel)

 

석탄, 코크스 등 고체형태의 연료를 말한다. 그중 석탄은 가스화 또는 액화해서 유체로서 사용하려는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코크스는 오늘날 제철용등으로 중요한데, 강점결성의 원소탄 부족으로 석탄배합에 의한 성형 코크스의 제조가 중요하게 되었다.

 

 고효율 가스터빈

 

발전용 가스터빈의 발전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거기서 배출되는 고온 배출가스를 이용하여 얻어진 고온증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증기터빈과 조합시켜 놓은 것이다.

 

 공기식집열기(Air-cooled solar collector)

 

열전달매체가 공기인 태양열 집열기

 

 공동이행제도(Joint Implementation, JI)

 

교토의정서 제6조에 규정된 것으로 선진국인 A국이 선진국인 B국에 투자하여 발생된 온실가스 감축분의 일정분을 A국의 배출저감실적으로 인정하는 제도.

 

 공시판매가격(Official Sales Price)

 

OPEC(석유수출국)에 가맹되어 있는 산유국이 소비국에 판매하는 석유가격으로 OPEC총회에서 정식으로 결정되는 가격이다. 정부판매가격(GSP)라고도 불리며, FOB(Free on Board:본선인도) 가격으로 표시되고 있다.

 

 공정중량(Process Weight)

 

연료를 포함하여 제조공정에 도입되는 모든 연료의 전 중량을 가리킨다. 공정중량은 공정에서 오염물질의 허용 배출을 계산하는 데 이용된다.

 

 과불화탄소(PFCs)

 

탄소와 불소의 화합물로 우리나라의 경우 반도체제조 공정시 주로 사용됨.

 

 과학기술자문 부속기구(Subsidiary Body for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ice, SBSTA)

 

온실가스배출통계 방법론, 국가보고서 작성지침 등 협약의 과학기술적 측면에 대한 권고안을 만들어 당사국총회 또는 요청이 있을 경우 다른 부속기구에 제출하는 역할을 수행함.

 

 광기전력(光起電力: photoelectro-motive force)

 

반도체에 빛을 조사했을 때 발생하는 전압

 

 광물연료와 화석연료(Mineral and Fossil Fuels)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응(혹은 핵 전환)에 의해 방출되어진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는 천연 광물 자원으로부터 추출되었거나 추출할 수 있는 원료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광물연료이다. : 고체연료, 액체연료, 가스 화석연료, 핵연료.

 

 광전지(光電池: photocell)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

 

 광전효과 (光電效果: photoelectric effect)

 

일반적으로 물질이 빛을 흡수하여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전자, 즉 광전자(光電子)를 방출하는 현상

 

 국내에너지총생산(Primary Production of Energy)

 

천연에너지원의 획득과(수력발전등 1차 전력을 포함하는) 일부 전환 에너지의 생산. , 연료의 일차적 생산분 (채탄, 채굴 등)에서 연료 정제과정의 불활성물을 차감한 양(천연가스의 경우 생산공정에서 태워버리거나 지하로 재주입시킨 에너지분을 제외시켜야 함). 2차 에너지로의 전환공정을 거치지 않은 재생에너지와 열발생 목적으로 이용된 동식물로부터의 에너지도 이 항목에 포함된다. 1차 전력생산은 수력발전, 지열발전과 원자력발전을 주로 지칭하나(세계동력회의의 에너지발란스에서는 수력과 원자력발전분을 등가 1차 에너지로의 환산을 권장함), 추가로 태양광발전, 풍력발전도 포함시킴이 바람직하다.

 

 

에너지 기술용어5

 

경성탄(Hard Coal Lignite)

 

수분과 회분을 제외한 계산기준으로 총열량이 24MJ/Kg(5700Kcal/Kg 또는 10260 Btu/1b) 이상인 가연성, 고체, 검은색, 화석 탄화물의 침강성 퇴적물. , 석탄의 총열량이란 30, 96% 상대습도의 공기와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회분제외기준으로 계산된 것임.

 

 경유(Light Oil)

 

원유를 증유로 얻을 수 있는 비점 200℃이상, 인화점50℃이상, 90% 유출온도 350℃이하의 연료유를 말한다. 디젤엔진용 연료로서 사용된다.

 

 경질경유 (LGO(Light Gas Oil))

 

 직류경유(Straight Run Gas Oil)

 

 경질원유(Light Crude Oil)

 

휘발유분이 상대적으로 많고 비중이 작은 원유를 말한다. 원유는 비중이 작을수록 가솔린과 나프타등 이용가치가 높은 성분을 많이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로 여겨진다.

 

 경질중유(B-A/Bunker-A)

 

경유유분 70%, B-C 유분 30%를 혼합시킨 연료유.

 

 고속증식로(Fast Breeding Reactor)

 

경수로에서 사용된 연료부터 추출된 플루토늄을 연료로 하고, 핵분열 반응을 일으키는 데에 고속중성자를 주로 이용하며, 소비된 연료이상의 연료물질(플루토늄)이 생기기 때문에 우라늄 자원의 이용가능성이 크게 확대된다. 노의 냉각에는 통상나트륨이 이용된다.

 

 고압가스저장용기

 

실온에서 200기압 이하의 수소, 천연가스 등 기체상태의 가스를 저장하는 용기.

 

 고에너지연료(High Energy Fuel)

 

종래의 석유계 탄화수소 연료에 비해서, 발열량 및 연소온도가 높고 추진력이 큰 연료, 수소, 베릴리움, 붕소, 리튬 등은 단위 질량당 연소열이 크며, 알루미늄, 마그네슘, 규소등은 고온화염을 내기 때문에 액체수소나 상기 원소의 수소화물 및 단체의 비분말을 탄화수소 연료에 현탁시키거나 고체연료에 섞어서 속에 넣은 것 등이 고에너지 연료이다.

 

 고열가스(Blast furnace gases)

 

고로에서 철의 제조시 생성되는 가스연료.

 

 고열가스(High-calorie Gas)

 

 천연가스 및 SNG(합성 천연가스)가 이에 속하며, 메탄이 주성분으로 발열량은 9,400kcal/㎥정도이다.파이프라인에 의한 원거리 수송에 저당하기 때문에 파이프라인급 가스라고도 한다. 미국에서는 석탄의 가스화가 SNG제조의 목표로 되어 있다. 도시가스, 공업용 및 발전용 가스로서 중요하다.

 

 고온 코우크스(High Temperature Coke)

 

800℃ 이상의 온도에서 석탄을 건류하고 남은 고체 잔유물. 800℃라는 최저온도는 전세계적으로 일정하지는 않다. 어떤나라(프랑스, 독일어권 국가)에서는 경성탄의 경우 1000, 갈탄의 경우 900℃를 최저온도로 잡는다.

 

 고체연료(Solid Fuel)

 

석탄, 코크스 등 고체형태의 연료를 말한다. 그중 석탄은 가스화 또는 액화해서 유체로서 사용하려는 연구개발이 활발하다. 코크스는 오늘날 제철용등으로 중요한데, 강점결성의 원소탄 부족으로 석탄배합에 의한 성형 코크스의 제조가 중요하게 되었다.

 

 고효율 가스터빈

 

발전용 가스터빈의 발전효율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거기서 배출되는 고온 배출가스를 이용하여 얻어진 고온증기에 의하여 구동되는 증기터빈과 조합시켜 놓은 것이다.

 

 공기식집열기(Air-cooled solar collector)

 

열전달매체가 공기인 태양열 집열기

 

 공동이행제도(Joint Implementation, JI)

 

교토의정서 제6조에 규정된 것으로 선진국인 A국이 선진국인 B국에 투자하여 발생된 온실가스 감축분의 일정분을 A국의 배출저감실적으로 인정하는 제도.

 

 공시판매가격(Official Sales Price)

 

OPEC(석유수출국)에 가맹되어 있는 산유국이 소비국에 판매하는 석유가격으로 OPEC총회에서 정식으로 결정되는 가격이다. 정부판매가격(GSP)라고도 불리며, FOB(Free on Board:본선인도) 가격으로 표시되고 있다.

 

 공정중량(Process Weight)

 

연료를 포함하여 제조공정에 도입되는 모든 연료의 전 중량을 가리킨다. 공정중량은 공정에서 오염물질의 허용 배출을 계산하는 데 이용된다.

 

 과불화탄소(PFCs)

 

탄소와 불소의 화합물로 우리나라의 경우 반도체제조 공정시 주로 사용됨.

 

 과학기술자문 부속기구(Subsidiary Body for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ice, SBSTA)

 

온실가스배출통계 방법론, 국가보고서 작성지침 등 협약의 과학기술적 측면에 대한 권고안을 만들어 당사국총회 또는 요청이 있을 경우 다른 부속기구에 제출하는 역할을 수행함.

 

 광기전력(光起電力: photoelectro-motive force)

 

반도체에 빛을 조사했을 때 발생하는 전압

 

 광물연료와 화석연료(Mineral and Fossil Fuels)

 

화학적 또는 물리적 반응(혹은 핵 전환)에 의해 방출되어진 에너지를 포함하고 있는 천연 광물 자원으로부터 추출되었거나 추출할 수 있는 원료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광물연료이다. : 고체연료, 액체연료, 가스 화석연료, 핵연료.

 

 광전지(光電池: photocell)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

 

 광전효과 (光電效果: photoelectric effect)

 

일반적으로 물질이 빛을 흡수하여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전자, 즉 광전자(光電子)를 방출하는 현상

 

 국내에너지총생산(Primary Production of Energy)

 

천연에너지원의 획득과(수력발전등 1차 전력을 포함하는) 일부 전환 에너지의 생산. , 연료의 일차적 생산분 (채탄, 채굴 등)에서 연료 정제과정의 불활성물을 차감한 양(천연가스의 경우 생산공정에서 태워버리거나 지하로 재주입시킨 에너지분을 제외시켜야 함). 2차 에너지로의 전환공정을 거치지 않은 재생에너지와 열발생 목적으로 이용된 동식물로부터의 에너지도 이 항목에 포함된다. 1차 전력생산은 수력발전, 지열발전과 원자력발전을 주로 지칭하나(세계동력회의의 에너지발란스에서는 수력과 원자력발전분을 등가 1차 에너지로의 환산을 권장함), 추가로 태양광발전, 풍력발전도 포함시킴이 바람직하다.

에너지 기술용어4

 

TC

 

Ton of Carbon ; 탄소톤

 

 Thermal NOx

 

연소용 공기 중의 질소가 고온에서 산화하여 생성되는 질소 산화물.

 

 TOE

 

Ton of Oil Equivalent ; 석유환산톤

 

 UNCED

 

U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유엔환경대발회의)의 약칭. 1972년 유엔인간환경회의 이후 20년만에 개최된 환경에 관한 유엔회의. 1992년 6 3 부터 14일에 걸쳐 브라질 리오데자네이로에서 개최되어, 각국 원수 또는 정부수뇌가 출석했기 때문에 지구서미트라고도 불린다.

 

 WTI

 

West Texas Intermediate의 약자로. 미국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원유를 말한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이루어지는 선물거래의 주요상품의 하나로 북해 브랜트원유와 함께 구미 석유시장의 지표가 된다.

 

 가동율(Lf)

 

1년동안에 발전된 총발전량을 최대출력(설비용량)으로만 발전되었다고 가정할 � 발전한 시간과 1(8,760시간)에 대한 비율(%)

 

 가스오일(Gas oil)

 

끓는점이 200350℃의 범위에 속하는 석유제품을 말한다. 가스유, 중유, 경유, 중질등유, 발동기유라고도 한다. 등유와 중유의 중간 유분으로, 비중은 대체로 0.840.90이다.석유 원유를 증류하여 끓는점 200350℃ 사이에 유분을 채취하여 황산 및 가성소다로 세정하고 정제하여 제품으로 한다. 용도는 대체로 등유와 비슷하여 등화용, 동력용(석유기관, 고속 디젤 기관 등), 열용 등으로 사용되며, 기타 기계의 세척, 석유유제, 절삭유 등에도 사용된다. 수성가스 등의 중열용으로 사용한 데서 유래하여 가스 오일이라고 하게 되었다. 출처 : [가스뉴스 kgnp@gasnews.com]

 

 가스터빈(Gas turbine)

 

터빈기관으로서 압축된 뜨거운 연소가스가 터빈을 작동시키고, 다음으로 이 터빈은 연소공기의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압축기(콤프레샤)를 작동시키는 것

 

 가스화(Gasification)

 

가스화용 매체(공기, 산소, 증기 등)와 고체연료를 반응시켜 연료가스를 제조하는 공정.

 

 가압수소가스(CGH2 or CH2)

 

가압상태의 기체상태 수소.

 

 가채년수

 

어느 해의 확인매장량(R:Reserve)을 그 해의 생산량(P:Production)으로 나눈 수치로 통상 R/P로 나타낸다. 현상태로 향후 몇 년 생산이 가능한가를 나타낸다.

 

 간접에너지(Indirect Energy)

 

가솔린, 등유, 전기, 가스 등 직접적으로 소비하는 에너지에 대하여 석유화학 제품이나, 운수, 통신, 서비스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소비하는 에너지를 말한다.

 

 갈탄(Brown coal/lignite)

 

가연성, 고체, 검은색을 띤 갈색, 화석 탄화물의 침강성 퇴적물. 갈탄, 경성탄의 구분에 필요한 확실한 근거가 연구되어 확인되기 전까지는 각국에서 여러 다른 특성을 근거로하여 갈탄으로 분류되던 석탄은 열량에 관계없이 (30, 96% 상대습도의 공기와 평형을 이룬 석탄의 총열량이 24 MJ/Kg을 넘는 경우도 포함된) 갈탄으로 분류됨.

 

 감압 경유(VGO / Vacuum Gas Oil)

 

상압잔사유를 VDU로 감압증류 시킬 때 탑의 상부로 생산되는 유분으로, FCC, Hydrocracker, 간접탈황, 윤활기유의 원료로 사용하며, 점도를 맞추기 위해 다시 연료유(B-A, B-B, B-C) Blending에 사용되기도 함.증류온도 및 유분의 성상에 따라 LVGO(Light Vacuum Gas Oil, 경질 감압경유), MVGO(Medium Vacuum Gas Oil, 중질 감압경유), HVGO(Heavy Vacuum Gas Oil, 중질감압경유)로 구분한다.

 

 감축목표(Quantified Emission Limitation and Reduction Objectives, QELROs)

 

기준 년도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대비, 양적으로 설정된 배출 목표. 현행 교토의정서의 경우 각국의 사정에 따라 '90년 배출량 대비 8%감축에서부터 10%증가까지 허용.

 

 개발가능매장량(Exploitable deposit / Exploitable resource)

 

평가 당시 지배적인 조건하에서 경제적으로 개발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되는 매장물이나 자원.

 

 개질휘발유(Reformate)

 

저옥탄가의 납사를 열 개질 또는 접촉개질시켜 얻는 고옥탄가의 휘발유를 말함.

 

 건성가스(Dry gas)

 

(1)탈수공정에 의하여 수분이 제거된 천연가스(2)상온, 상압하에서 상업적으로 회수가능한 액성 탄화수소물이 전혀 없거나 소량을 포함한 천연가스.:(2)의 경우 특성사양은 75㎥의 천연가스에 1리터 이하의 응축액(Condensate)을 포함한 천연가스임.

 

 건폐율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대지에 2이상의 건축물이 있는 경우에는 이들 건축면적의 합계로 한다.)의 비율.

 

 결정질실리콘(Crystalline Silicon) 태양전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태양전지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실리콘을 원통 실린더(단결정 : Single crystalline) 또는 사각형의 블록 형태(다결정 : Multi crystalline)로 성장 또는 주조한 다음 이를 얇게 썰어 웨이퍼를 만들고 웨이퍼를 처리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함. 웨이퍼의 두께는 보통 300um 내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