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 식 방**/<기계공식>

측정 방법 및 측정기

미래로보텍 2008. 4. 13. 16:40
측정 방법 및 측정기

측정 및 검사법은 제품 특성이나 공장 환경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여기서는 측정 일반 사항과 길이, 각, 면, 나사와 기어 등 일반적인 측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2.2.1 길이의 측정

1) 길이 측정 일반

① 길이의 기본 단위

 길이의 기본 단위는 미터(meter)이며, 파리의 국제 도량형국에 보관되어 있는 국제 미터 원기의 중립면에 새겨진 두 눈금 사이의 0 ℃에서의 거리를 기준으로 해 왔다.

그러나, 미터 원기는 인공적인 것이므로 절대 불변이라고 할 수가 없어, 1960년 국제 회의에서 크립톤 86 스펙트럼선의 파장으로 미터 단위 기준을 개정하였다.

 :1미터를 크립톤 86 (Kr86)이 일정 조건하에서 발하는 등색(Orange-red) 스펙트럼선의 진공에서의

    파장의 1650763.73배로 정의

 

공업 분야에서는 인치 단위도 많이 사용되며, 인치와 미터 단위의 환산관계는 다음과 같다.

 영국식 : 1 inch = 25.39978 mm

 미국식 : 1 inch = 25.40051 mm

 

② 길이 측정의 2차 기준

빛의 파장으로 실지 길이를 측정하기는 어려우므로, 길이 측정의 2차 기준으로 선도기(Line Standard)와 단도기(End Standard) 두가지를 사용한다.

선도기의 대표적 예로는 표준자(Standard Scale), 단도기의 대표적 예로는 블록 게이지(Block Gauge)를 각각 들 수 있다.

 

③ 항온 항습실

온도 변화에 따라 측정물과 측정기가 신축하기 때문에 측정 온도를 지정할 필요가 있으며, 지정된 온도가 아닐 때에는 측정 온도를 표시하거나 지정된 온도의 값으로 환산하여야 한다.

길이 측정의 표준 온도는 20℃이며, 정밀한 측정은 20℃, 기압 760mmHg, 상대습도 58%의 표준 조건에서 행한다.

일반적으로 기압은 관리하기가 어려우므로, 정밀 측정실은 온도와 습도만 일정 범위내로 관리되는 항온항습실로 한다.

이상적인 항온 항습실은 보통 온도 20±1℃, 상대 습도 60±5%로 유지되는 실내를 말한다.

 

1㎛ 이하의 측정에서는 측정실의 조명이나, 측정자의 체온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측정물 온도도 실온과 다르면 영향을 미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④ 측정력

길이의 측정은 측정기와 측정물을 접촉시켜 측정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측정력이 작용하게 되며, 그것으로 인하여 측정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측정력은 작은 것이 좋지만, 길이의 측정에서는 보통 50~1000g 정도로 한다.

 

 

2) 길이 측정기

① 곧은자 (Straight Rules)

KS 규격에는 길이 150~2000 mm 까지의 곧은자를 규정하고 있다.

재질은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되며 호칭 칫수는 길이로 표시한다.

미터계 자와 인치계 자로 구분된다.

 

② 버어니어 캘리퍼스(Vernier Calipers)

버어니어 캘리퍼스는 내측과 외측의 모든 칫수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로, 본척과 부척(Vernier)을 이용하여 미터계에서는 1/20 mm, 1/50 mm, 인치계에서는 1/500 in, 1/1000 in 수준까지 읽을 수 있는 제품들이 있다.

 

부척(Vernier)의 눈금은 본척의 (n-1)개의 눈금을 n등분한 간격으로 되어 있다.

 

공작물을 측정하여 부척의 m 번째의 눈금이 본척의 눈금과 일치할 경우, 부척의 0눈금의 왼쪽에서 본척의 눈금까지의 길이가 ℓo이면 측정물의 치수 ℓ 은 다음과 같다.

      ℓ = ℓo + m·C

단, C는 본척과 부척의 한 눈금의 차

 

요즘은 주로 다이얼 게이지(Dial Gauge)가 부착된 버어니어 캘리퍼스나 디지털 버어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므로 위의 읽는 방법을 몰라도 크게 사용에 불편한 점은 없다.

실지 디지털 버어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해 본 사람들은 계속 이 버어니어 캘리퍼스만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디지털 버어니어 캘리퍼스는 보통 0.01mm 수준까지 판독할 수 있다.

 

버어니어 캘리퍼스 외의 버어니어를 이용한 측정기로는 버어니어 하이트 게이지(Vernier Height Gauge), 버어니어 뎁스 게이지(Vernier Depth Gauge), Gear Tooth Vernier Calipers 등이 있다.

 

③ 마이크로미터 (Micrometer)

고정된 너트에 나사가 가공되어 있는 스핀들을 끼워 회전시킬 때 축방향의 이동량과 회전각이 비례하는 것을 이용하여, 스핀들의 미소 이동량을 원주 눈금으로 읽도록 한 측정기로 비교적 고정도로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핀들 나사의 피치는 0.5mm, 팀블(Thimble)의 원주는 50등분되어 있으므로, 원주 한 눈금은 0.01mm의 이동량을 나타낸다.

눈금을 읽기는 버어니어 캘리퍼스에 비해 쉽지만, 디지털로 되어 있는 제품이 사용하기 편리해 많이 사용된다.

디지털 마이크로미터의 최소 표시량은 보통 0.001mm로 되어 있다.

 

측정 범위는 보통 0~25 mm, 25~50mm, ... 등으로 25mm 간격으로 되어 있으며, 최대 500mm 정도까지이지만, 특수한 경우 1500mm 정도까지 측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미터도 사용된다.

 

실지, 측정시는 측정물이 앤빌과 스핀들에 접촉된 상태에서, 뒷부분의 래칫 스톱(Ratchet Stop 또는 Friction Stop)을 1~2회 회전시켜 측정력이 일정해 지도록 한 상태에서 눈금을 읽는다.

 

마이크로미터는 일반 외경용 외에도 내경 마이크로미터, 이 두께 마이크로미터, 포인트 마이크로미터, 관 두께 마이크로미터, 철판용 마이크로미터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④ 공기 마이크로미터

변위를 유량 변화로 변환시켜 미소 변위를 측정하는 계측기이다.

사용하는 압축 공기 압력에 따라 저압식(50~200 kPa), 중압식(약 100 kPa)과 고압식(2000 kPa 이상)으로 구분한다.

측정물과 유출 노즐 사이의 틈새 크기에 따라, 틈새를 따라 대기로 방출되는 압축 공기량에 차이가 생기고, 그로 인해 생긴 압력 변화를 수주 마노미터에 표시된 눈금으로 읽는다.

확대율은 아주 커서, 저압식의 경우도 보통 0.001mm 정도의 변위를 수주 높이 1mm 수준까지 확대할 수 있다.

공기 마이크로미터의 장점은 아래와 같다.

- 무접촉식 측정이 가능하다.

- 자동 선별, 제어 등 자동화가 용이하며, 동시에 여러 부위를 측정할 수 있다.

- 공구 호울더 등 테이퍼가 있는 내경도 쉽게 측정할 수 있다.

- 비교적 간단하게 고배율로 확대가 가능하다 (5000~10000배 수준).

 

⑤ 전기식 측미기

높은 배율로 확대가 가능하고, 원격 제어가 가능하며, 자동화 적용이 용이한 측정 방식이다.

다만, 전원의 변동, 회로 불안정 등의 문제가 있을 경우, 측정의 정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단점이 있어 많이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인덕턴스 변환식, 차동 변압기식, 저항선 스트레인 게이지식, 접점식, 정전 용량 변환식 등 여러 가지가 방식이 있다.

 

⑥ 내경 측정용 게이지

내경 측정용 측정기는 버어니어 캘리퍼스, 내경 마이크로미터, 3점 측정식 내경 마이크로미터, 측장기, 공기 마이크로미터, 실린더 게이지 등이 있다.

 

이중 실린더 게이지는 내경 18mm 이상의 내경 정밀 측정에 사용한다.

 

⑦ 기타

다이얼 게이지 (Dial Gage)

랙과 피니언 등으로 측정 스핀들의 변위를 회전 운동으로 확대 변환시켜, 다이얼 상의 지침으로 바로 읽을 수 있도록 한 측미기를 말한다.

일반 다이얼 게이지는 0.01mm 눈금으로 제작되며, 0.001mm 눈금용으로는 지렛대식, 백 플런저식(또는 starrett 식) 등이 사용된다.

 

광학적 계측기

광학 계측기는 확대 기구로 광지렛대, 오토콜리미터(Autocollimeter), 광간섭계 등을 사용하는 방식, 또는 기계적 확대 장치와 조합하는 방식 등이 사용된다.

주로, 블록 게이지 측정 등 아주 정밀한 측정에 사용하며, 체온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측정자와 측정기 사이의 열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 마이크로룩스

기계식 지렛대로 측정자의 움직임을 확대하고 여기에 연결된 반사경을 기울여 원호 눈금판 위에서 광점이 이동하도록 하는 계측기로, 보통 0.001mm 단위 눈금으로 되어 있다.

 

- 오토콜리미터(Autocollimeter)

렌즈를 이용해 점광원에서 나온 빛을 평행 광선으로 만드는 장치인 콜리미터와 망원경을 조합한 형태의 계측기로, 미세한 각도 변화를 측정한다.

 

�티미터는 변위를 반사경의 회전으로 변환하여 오토콜리미터로 측정하게 한 계측기이다.

울트라 �티미터는 고정거울을 이용하여 반사경 면에 2회 반사시켜 광원의 기울기를 4배로 확대시킨 �티미터를 말한다.

보통 �티미터는 0.001mm, 울트라 �티미터는 0.0002mm 단위 눈금으로 제작된다.

 

한계 게이지(Limit Gage)

한계 게이지 방식은 측정물의 치수를 최대 허용치수와 최소 허용치수 범위내로 관리하는 측정 방식이다.

즉, 최대 칫수로 된 통과측(Go Gage)과 최소 치수로 된 정지측(No Go Gage)으로 구성되며, 통과측을 통과하고 정지측을 통과하지 못하면 합격이 된다.

일반적으로 통과측은 길게, 장지측은 짧게 만든다.

한계 게이지는 형태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한다.

- 표준 플러그 게이지, 링 게이지

- 디스크 게이지,

- 표준 스냅 게이지

 

공구 현미경 (Toolmaker's Microscope),

일반적으로 측정물 지지대가 전후 좌우 방향으로 미소 단위로 이동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회전 테이블이 있거나, 상하 방향으로도 측정이 가능한 제품도 있다.

PC에 연결해 모니터 화면에서 측정물 형상을 바로 볼 수 있고 인쇄도 할 수 있도록 한 형태의 제품이 주로 사용된다.

 

투영기 (Projector)

영사기와 유사한 원리로 측정물을 광학적으로 확대 투영하여, 투영면 상에서 형상과 치수를 측정한다.

보통, 측정 테이블은 미소 단위로 전후 좌우 방향 이송이 가능하고 회전도 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3차원 측정기 (Coordinate Measuring Machine)

3차원 측정기는 기계 본체와 컨트롤러로 구성되어 있으며, 치수 측정뿐 아니라 형상 및 위치의 측정도 가능하다.

단, 면의 윤곽도 등 3차원 형상면의 측정을 위해서는 별도의 S/W와 CAD 데이터로부터 측정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 등을 필요로 한다.

 

3차원 측정기의 프로브(Probe)는 아래와 같은 형태들이 주로 사용된다.

- 터치 시그널 프로브 : 측정자가 측정물 접촉시 전기 접점 장치에 의해 트리거 신호 발신

- 변위 검출식 프로브 : 압전 소자나 차동 변압기 내장

- 디지털 측정 프로브 : 리니어 엔코더 내장

- 비접촉식 프로브 : 광반사 위치를 3각 측량 방식, 또는 CCD 카메라에 의한 에지 검출 방식 등

 

정반

보통 주철이나 돌(석정반)로 제작되며, 공작물의 측정, 금긋기 작업 등에서 기준면 역할을 한다.

 

기타

이외에 필러(filler) 게이지, 레이디어스(radius) 게이지, 와이어 게이지, 나사 피치 게이지, 캘리퍼스(외경 퍼스, 내경 퍼스, 사이드 퍼스 등)의 길이 측정기가 있다.

 

2.2.2 각도의 측정

각도의 단위는 도(degree)와 라디안(radian)이 있으며, 원주를 360등분한 호에 대한 중심각을 1°, 1°의 1/60 을 1분('), 1분의 1/60 을 1초(")라 하며, 반지름과 같은 길이의 호에 대한 중심각을 1라디안이라 한다.

각도의 측정은 길이의 측정에 비해 정밀한 측정이 어렵고 측정 방법도 제한되어 있다.

그 원인은 확대 방식의 차이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길이는 현미경으로 쉽게 확대할 수 있지만, 각도는 확대 방식이 반사에 의한 방법과 웜과 웜 휘일에 의한 방법으로 제한된다.

 

주요 각도 측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① 각도 기준과 비교하는 방법(각도 게이지)

② 각도기를 사용하는 방법(각도 정규, 각도기 등)

③ 길이를 측정하여 삼각법으로 산출하는 방법(사인 바)

 

1) 각도 측정기

① 각도 게이지 (Angle Gauge)

각도 게이지는 길이 측정에서 블록 게이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서로 조합하여 임의의 각을 만들 수 있으며, 보통 Joanson식과 N.P.L.식이 주로 사용된다.

Joanson식은 10~350° 사이에서는 1초(') 간격으로, 0~10°, 350~360° 사이에서는 1° 간격으로 임의의 각을 조립할 수 있다.

N.P.L.식은 Joanson식 각도 게이지 조합에 너무 많은 각도 블록이 필요한 단점을 개선해, 주로 많이 사용하는 각도 범위(0~99°, 0~102°, 0~90°) 내에서만 적은 수의 각도 블록으로 조합을 만든다.

 

② 각도기 및 직각자

각도기 (Bevel Protractor)

각도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간단한 측정기이다.

보통 버어니어 캘리퍼스와 유사하게 본척과 부척으로 된 만능 각도기(Universal Bevel Protractor)가 주로 사용되며, 바로 각도를 읽을 수 있도록 한 디지털 각도기(Digital Protractor)도 많이 사용된다.

 

직각자 (Square)

직각도 검사에 사용된다.

상세 측정 방법은 뒤의 기하 공차 측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③ 광학적 분할대

기계적 분할대의 마스터 웜 기어에 해당하는 부위에 눈금판을 붙이고, 현미경이나 투영 장치로 회전각을 읽을 수 있도록 한 각도 측정기이다.

기타, 로터리 엔코더를 이용한 광전식, 또는 전기식 각도 측정기 등이 있으며, 최소 측정 눈금 단위는 보통 1", 또는 0.1' 정도로 되어 있다.

 

④ 수준기(Level)

유리관에 알코올 등을 봉입하고 작은 기포를 남겨 놓으면 기포가 항상 높은 위치에 떠오른다.

이 현상을 이용해 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기포관식 수준기이다.

 

1눈금만큼 경사시키는데 요하는 경사각 α를 그 수준기의 감도라 한다.

일반적으로, 기포관식 수준기는 5° 정도까지를 1"~1' 단위로, 전기식 수준기는 ±10' 정도를 0.5" 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⑤ 사인 바 (Sine Bar)

정밀 가공된 바(Sine Bar)의 양 끝에 직경이 같은 2개의 원통형 핀(Roller)을 끼운 상태에서, 그 위에 측정물을 올려 놓고 측정물의 면이 정반과 평행하여 수평이 되도록 블록 게이지로 로울러를 고인다.

수평이 될 때의 블록 게이지 높이와 로울러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로울러의 중심 거리는 계산이 쉽도록 100mm, 200mm 등(또는 10in, 20in 등)으로 만든다.

 

⑥ 오토콜리미터를 이용한 방법

오토콜리미터는 직각도, 평면도, 평행도, 미소 각도의 변화나 흔들림 등의 측정에 사용된다.

 

⑦ 기타

기타 표준 테이퍼 게이지를 이용해 테이퍼 접촉률로 측정하는 방법, 강구와 블록 게이지를 이용하는 방법, 로울러를 이용하는 방법, 공구 현미경이나 투영기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상세 측정 방법은 뒤의 기하 공차 측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2.2.3 면의 측정

기계 가공면은 공작기계의 정도, 공구의 형상, 가공방법, 소재 등의 영향으로, 기하학적인 이상면이 아닌 오차를 가진 면이 되며, 이 면의 오차는 거시적 오차미시적 오차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거시적 오차는 평면도(Flatness)진직도(Straightness)로, 미시적 오차는 표면거칠기로 오차의 정도를 나타낸다.

 

1) 평면도 및 진직도

평면도 및 진직도는 직정규, 수준기, 오토콜리미터, 정반, 광선 정반, 다이얼 게이지, 3차원 측정기 등을 이용해 측정한다.

상세 측정 방법은 뒤의 기하 공차 측정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2) 표면거칠기의 측정

① 표면거칠기 표준 견본 (Surface Finish Blocks)과 비교 측정

표면거칠기가 정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거나 비교적 큰 값으로 규제되어 있는 다듬질면에 주로 적용하는 방법이다.

표준 견본은 가공법 종류별, 표면거칠기 단계별로 구분되어 있다.

비교 방법은 촉감, 육안, 현미경, 확대경 등으로 한다.

 

② 촉침법

피측정면 위에 촉침(stylus)이 가볍게 접촉한 상태에서 이동시키며, 촉침의 상하 운동을 적당한 확대 장치로 확대시켜 기록하는 방법이다.

표면거칠기 곡선을 쉽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많이 사용된다.

 

③ 기타

- 광절단법

피측정면에 빛의 띠를 투영하고, 반대편의 비스듬한 방향에서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이다.

비법촉식이므로 연질 재료의 측정이 가능하고, 조작이 간편하며, 신속한 측정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 광파 간섭법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피측정면의 요철부로부터의 반사광과 표준 반사면으로부터의 반사광 사이의 위상차로 간섭 밴드를 만들고 현미경으로 확대하여 관찰하는 방식이다.

비교적 넓고, 매우 매끄러운 면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방법이다.

간섭 방식에 따라 2광선 간섭법과 반복 간섭법으로 구분한다.

 

- 광선 반사법

피측정면에 입사된 빛의 반사광의 분포로부터 표면거칠기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대표적인 측정기로는 NF 거칠기식 표면거칠기 측정기가 있다.

 

2.2.4 나사의 측정

나사는 사용 목적에 따라 체결용 나사와 운동용 나사로 구분할 수 있으며, 나사산의 형상에 따라 3각 나사, 둥근 나사, 사다리꼴 나사, 4각 나사, 톱니 나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는 3각 나사의 측정법에 대해 KS 규격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나사를 측정할 때는 보통 아래 표의 5가지 요소를 측정한다.

 

구분

설명

비고

바깥지름

Outside Diameter

나사산 끝과 끝을 접하는 가상 원통의 지름

 

골지름

Full Diameter

나사의 골과 골을 접하는 가상 원통의 지름

 

피치(또는 리이드)

Pitch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서 이웃하는 나사산과 산 또는 골과 골 사이의 거리

 

유효지름

Effective Diameter

나사홈의 폭과 산의 두께가 같도록 한 가상원통의 지름

피치경

나사산의 각도

Angle Of Thread

나사 산의 각도

 

 

1) 나사 측정 방법

① 나사 게이지에 의한 측정

표준 나사 게이지

표준 나사 링게이지(Ring Gauge)와 표준나사 플러그게이지(Plug Gauge)가 있다.

주로, 마스터 게이지로 나사 측정기의 조정용으로 사용되며, 실지 나사의 측정에는 아래의 한계 게이지가 사용된다.

 

한계 나사 게이지

나사가 공차 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다.

숫나사용의 한계 나사 링게이지와 암나사용의 한계 나사 플러그게이지가 있으며, 사용법은 위에서 설명한 한계 게이지와 같다.

 

 

② 수나사의 측정

나사 마이크로미터

수나사의 바깥지름, 골지름 및 유효지름을 나사축선에 수직인 방향에서 측정한다.

나사 마이크로미터는 앤빌(Anvil)과 스핀들(Spindle)의 선단에 각각 45° 원추형 측정편과 V형 홈이 있어 골지름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구형 측정편을 앤빌과 스핀들에 각각 끼울 수 있도록 한 볼 포인트 마이크로미터(Ball Point Micrometer)도 사용된다.

측정시는 주로 피측정 나사를 표준 나사 게이지와 비교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삼침법 (Three Wire Method)

나사의 골에 3개의 침을 끼우고 이들 침의 외측 거리 M을 외경 마이크로미터, 측장기 등으로 측정하여 수나사의 유효지름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고정도의 나사 측정에 이용된다.

침의 지름을 d, 나사의 피치를 p, 나사산의 각도를 α라 하면 유효지름 d2는 아래의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d2 = M - d(1+1/sin(α/2)) + P/2 * cot(α/2)

 

구분

유효지름 (d2)

비고

α가 60°인 나사

미터 나사, 유니파이 나사

M - 3d+0.866025 P

 

α가 55°인 나사

위트워어드 나사

M - 3.16568 d+0.960491 P

 

 

       

침의 지름 d는 피치에 따라 반각 오차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값이 공업 규격에 규정되어 있다.

예)

피치

0.25

0.5

1.0

1.5

2.0

2.5

침의 지름

0.144

0.288

0.577

0.894

1.154

1.443

 

기타

기타, 2침으로 나사 유효경 측정 부동 마이크로미터 측정기(Floating Micrometer Measuring m/c), 피치 측정용의 리이드 테스터(Lead Tester) 등이 있다.

 

 

광학적 방법

나사 측정용 광학장치에는 현미경을 갖는 것과 투영장치를 갖는 것이 있으며, 높은 정밀도를 요하지 않는 짧은 나사를 측정할 때에는 공구 현미경이 사용되고, 보다 정도 높고 긴 것의 측정에는 윤곽 투영기, 만능 측정 현미경 등이 사용된다.

광학적 측정법은 측정 압력으로 인한 오차가 없으며, 유효 지름을 직접 읽을 수 있고, 특히 나사각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공구 현미경의 대안 렌즈에는 형판(Templet Plate)이 있어 나사각과 피치를 검사할 수 있고, 분도기의 눈금이 있는 대안 렌즈를 사용하면 임의의 각도 측정할 수 있다.

 

 

③ 암나사의 측정

암나사의 측정은 수나사의 측정보다 어려움이 많고 오차도 크며, 특히 지름 10mm 이하의 나사는 측정이 거의 불가능하다.

실제에서는 나사 한계 게이지에 의한 검사로 암나사의 측정을 대신하는 경우가 많다.

나사산의 반각 등은 직접 측정이 어려우므로, 석고, 동아말감, 텐탈 왁스 등의 재료로 나사산의 본을 떠서 수나사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골지름과 내경은 적당한 측정편을 이용하여 내경 측정기로 측정하고, 유효 지름은 삼침법에 의하여 측정한다.

 

④ 테이퍼 나사의 측정

테이퍼 나사의 측정은 테이퍼 나사 게이지를 이용하는 방법, 공구 현미경이나 만능 측정 현미경을 이용하는 방법, 나이프 에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테이퍼 나사 게이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가장 쉽고 간단하지만, 피치 오차나 나사산의 반각 오차를 검사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테이퍼 나사 플러그 게이지의 유효경 검사는 사침법을 원칙으로 하며, 로울러와 보조판을 이용해 측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