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TOR의 선정시에는 사용 부하에 적합한 MOTOR의 전기적 특성 뿐 아니라 사용환경 등에 의한 기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4.1 MOTOR 주문에 필요한 시방(SPECIFICATION) 모터의 주문시에는 아래에 해당하는 항목이 기재되어야 한다.
- 부하: 회전관성 MOMENT(GD2)
- 정격: 출력,주파수,전압,회전수
- 사용의 종류: 연속사용, 단시간 사용등
- 보호 형식: 개방형,밀폐형
- 주위조건: 온도, 설치장소(옥내, 옥외..)
- 취부 방식: 수평형,수직형,플랜지형...
- 시동방법: 전전압 기동, STAR-DELTA 기동, 리액터 기동
- 부하 연결방식: 직결, 벨트 걸기등
4.2 전기적 CHECK POINT
- 부하의 특성
부하의 회전 관성 MOMENT(GD2)등 부하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전동기의 토크 특성(정출력형, 정TOQUE형, 변동TORQUE형)을 선정하여야 한다. 또한 운전 특성(연속운전, 단시간 운전, 반복운전, 단속사용)을 고려해햐 한다.
- 정격 출력
사용 조건과 부하의 기동에 필요한 TORUE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MOTOR의 출력 즉, 용량을 결정한다.
- 사용전압
사용 환경과 출력 특성에 의해 사용전압(고압, 저압)을 결정한다.
- 상수
단상, 3상 유도 전동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상수를 결정한다.
- 주파수
50,60Hz
- 속도/극수
단일속도, 다단 속도 등 속도 변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극수 변환전동기등을 고려한다.
- 회전자 구조
농형, 권선형의 회전자의 구조를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농형전동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권선형 전동기는 큰 기동 토크가 요구될 때, 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경우, 관성이 대단히 크고 시동기산이 길 경우, 시동정지,가역 운전이 빈번한 경우, 기동 전류를 제한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 기동 방법
선정 모터의 기동방법에 대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기동 방법은 3.6에서 설명한 직입기동, STAR-DELTA 기동, 리액터 기동, 보상기 기동, 저항기 기동, 콘돌퍼 기동 등이 있다.
- 정 격
연속정격, 단시간 정격, 반복사용(%ED) 정격이 사용 환경(부하 특성, 사용조건)에 적합한지 확인해야한다.
- 제동
운전 조건에 제동이 포함되는지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 적용규격
MAKER 표준,적용규격
- TORQUE 특성
기동 토크, 최대 TORQUE, 정동 토크등을 확인해야 한다.
- 온도상승/절연
B,F,H종 등 온도 조건과 절연 조건을 확인해야 한다.
- 기타
ACCESSORY(히타,온도감지기)등의 적용 여부를 검토하여 결정한다.
4.3 기계적 CHECK POINT
- 환경
습기, 주위온도, 표고등에 따라 방폭형, 방진형 등의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 외피보호방식
이물질 등의 침입에 의한 개방, 전폐형등의 보호 형식을 결정한다(JP분류).
- 통풍,냉각
통풍방식(자력통풍,타력통풍),냉각방식(수냉,유냉)을 결정해야 한다.(JC분류)
- 동력 전달
축단에서의 동력 전달 방식을 결정해야 한다. COUPLING TYPE, 벨트 등 동력전달 방식, 즉 전동기와 부하의 연결방식을 결정한다. 감속비와 전동기가 일체로 된 기어드 모터(GEARED MOTOR)의 사용도 고려할 수 있다.
- 설치조건(MOUNTAING)
취부 방법을 결정해야 한다. 이는 동력 전달 방식과 사용조건등에 의해 결정된다. 수평형(FLOOR, FLANGE, FLOOR & FLANGE, WALL, CELL), 수직형(VERTICAL FLANGE, VERTICAL, VERTICAL WALL & FLANGE)으로 나누어 진다.
- 단자
표준, LEAD 인입구 형식 및 SIZE
- 치수
전기적 특성이 정해진 전동기의 치수 규격(KS, IEC, NEMA, MARKER 표준, 각 업체 규격)을 확인하여 설치 치수를 결정한다.
- 소음
표준, 기타 규격 및 요구 소음 규정을 확인한다.
- 정도
진동지정, 공작정도 등을 확인다.
- 부하의 종류
- 기타
도장, 접지단자, 부속품, 예비품, 명판, 회전방향 등을 결정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