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 식 방**/<기계공식>

알아두면 편리한 기계공식

미래로보텍 2008. 4. 20. 22:11
 알아두면 편리한 기계공식

알고 싶은 것

알고 있는 것

 

피니온의 원직경 d

중심거리a(mm)와 속비i

 

모쥴(module)m

피치원직경(mm)외치수z(기아수)

 

원주피치t

피치원직경 d(mm)와 치수z또는 모쥴m

 

하중.접선력 F

회전수 n (rpm),피치원직경d(m)과 동력kw 또는 마력ps

 

주(원통)속도v

회전수 n(rpm)와 피치 원직경d(m)

 

토르크 T

하중 F(kgf)와 피치 원반경 r(m)

T=F x r(kgf.m)

토르크 T

동력 kw 와 회전수 n (rpm)

 

토르크 T

마력ps 와 회전수 n(rpm)

 

동력 kw

토르크T(kgf.m)와 회전수 n(rpm)

 

동력 kw

하중F(kgf)와 속도 v (m/sec)

 

마력ps

토르크 T (kgf.m)와 회전수 n (rpm)

 

마력ps

하중F(kgf)와 속도 v (m/sec)

 

오버행로드 O.H.L

토르크 T (kgf.m)와 피니온.뿌리등의 피치원 반경r(m)

 

피니온등의 최소반경

R

토르크 T (kgf.m)와 허용 오버행로드 O.H.L

 

축의 휘어짐(비틀어짐)

토르크 T (kgf.cm)와 축경 d(cm)

 

 

(2) R.P.M
   
COUPLING에 의한 직결일 때는 1800~2000 R.P.M 까지 사용해도 무방합니다.
그러나 저속가동시 (600 R.P.M이하)에는 효율의 저하로 인하여 감속기의 용량이 떨어지므로 출력 TORQUE 를 고려해서 1단 높은 감속기를 선정해야 하며 윤활유의 용량에 주의해야 한다.

(3) 마력(HP)
   
마력이란 동력을 나타내는 하나의 단위입니다.즉 75kg의 물체를 1초동안 1M 를 움직인 일의 양을 HP라 합니다
    W=가아여진 힘(kg) ,S=움직인 거리(m/sec),HP=w x s / 75

(4) 회전력(TORQUE)
   
물체에 회전운동을 일으키는 힘을 TORQUE라 한다.
회전수N(R.P.M)회전반경이 R(m)DRUM에서 중량W(kg)의 점을 상하로 움직일때 다음 관계식이 성립된다.
EX:1    T=R X W(kg)  R=300/2 X 1000=0.15M   T=500kg X 0.15m=75kg-m
R=회전체의 반경(m)   T=TORQUE(kg-m)    W=접선방향의 힘(kg)

N=매분 회전수(R.P.M)
EX:2 위의그림의 회전체가 75kg-m TORQUE 이고 1분간에 30R.P.M으로 회전하였다면 몇 마력이 되겠느가?
      
이상의 예로서 다음의 것을 알 수 있다.즉 일정한 마력의 경우 회전수가 증가 하면 TORQUE는 감소하고 회전수가 감소하면TORQUE는 증가한다.
일정 마력 모타로 회전되는 감속기의 경우 감속비가 클수록 TORQUE가 증가되어 WORM GEAR의 치면에 미치는 힘은 커지고 감속비가 작은 경우는 그 반대가 되는 것이다.


<* R.P.M >
출력축 R.P.M은 입력축R.P.M과 감속비가 정하여지면 다음식으로 계산할수 있습니다.출력 R.P.M=입력 R.P.M X 감속비

<*효율 >
웜감속기의 효율은 WORM 나사의 LEAD 각 WORM 나사의 R.P.M 및 재질에 의한 마찰계수로 결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