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 시 판/<일반게시판>

잉카문명 이미지모음

미래로보텍 2008. 2. 12. 13:57

우리민족이 아즈텍·잉카문명 세웠다" 주장

[조선일보] 2007년 12월 21일(금) 오후 04:55   가 | 이메일| 프린트

우리 민족이 기원전 베링해를 건너 중남미의 아즈텍문명과

잉카문명을 건설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배재대 손성태(孫成泰·43) 스페인어·중남미학과 교수는 21일

 경기도 파주 출판단지에서 열린 국어학회 겨울학술대회에서 ‘

중남미 고대어에 나타난 우리말 흔적―아즈텍 문명과 잉카 문명은

우리 조상의 것이었다’는 논문을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손 교수는 그 증거로 문장구조, 조사, 개별단어 등 여러 측면에서

나와틀(Nahuatl)어와 케추아(Quechua)어에

우리말의 흔적이 매우 많이 남아있다고 밝혔다.

나와틀어는 아즈텍문명을 건설한 부족의 언어로 지금도 등 중미지역에서

약 200만명이 사용하고 있다. 케추아어는 잉카제국을 건설한 부족의

 언어로 남미에서 약 700만명이 사용 중이라고 손 교수는 설명했다.

 


 논문에 따르면, 문장구조의 경우 ‘주어+목적어+동사’로

어순이 일치하며 주어의 생략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이, 의, 을/를, 에서, 와/과, 로, 로부터, 끼리’ 등의 조사를 사용하며

그 종류와 쓰임새도 우리말과 일치하고 있다. 우리말이 그대로 남아있는 경우도 여럿 있다.

‘나와틀’이라는 말 자체가 나와(나)+틀(복수형어미 ‘들’) 즉, ‘우리’가

지금도 남아있는 예라는 것이다. 아즈텍(Aztec) 역시 스페인어 발음으로는

‘아스떽’이며, 이는 곧 ‘아사달’이라고 했다.

 

(nal), 오다(wala), 가다(ga), 여기(ye),

 누구나(noo’yuna), 어제(izi’i) 등도 우리말과 일치한다.

손 교수는 특히 지금까지 그 뜻이 정확히 알려지지 않은 아리랑에서
‘아라리가’의 뜻도 찾아냈다고 주장했다. ‘alariga’(아라리가)란 말이
 나와틀어에서는 ‘이렇게해서(영어의 thus)’의 뜻이라는 것. 그는
따라서 ‘아라리가 났네’는 ‘그렇게해서 이겼네’의 뜻이며,
아리랑은 친선경기나 전쟁에서 이겼을 때 부르는
승리가 또는 승전가”라고 주장했다.
손 교수는 “직접적인 관련 없이 이처럼 공통점이
 많기란 불가능하다”며 “세계 문화사를 다시
 써야 할 정도로 깜짝 놀랄만한 큰 발견”이라고 주장했다.


 손 교수는 “인류가 베링해협을 건너 미주 대륙으로 이동했을 것이라는

 가설이 상당한 설득력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구체적인 증거가 없었다”며

 “언어적 관점에서 그 증거를 찾아낸 셈”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내년 5월 이를 의 세계언어인류학회에서 발표할 예정이며

앞으로 연구팀을 만들어 체계적으로 연구하겠다”고 덧붙였다.

 

 영국군이 도착했을때,, 인디언 얼굴이.. 꼭 고구려벽화에서

나오는 사람하고 똑같이 생겼더만요.. 지게지고,,호미로 농사짓고,,, 

온돌유적도 나오고,,,~.너무나 당연한 내용인데 언어학적으로 이를 증명했다는게.

다행이네요..  멧돌도 나왔다네요..~시에틀에서..

 

 

 

 

 

 

 

 

 

 

 

 

 

 

 

 

 

 

 

 

 

 

 

 

 

 

 

 

 

 

 

 

 

 

 

 

 

 

 

 

 

 

 

 

 

 

 

 

 

 

 

 

 

 

 



'게 시 판 > <일반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재목 교수승가대스님들 강의....  (0) 2008.01.28
달마 대사가 눈을 부릅뜬이유  (0) 2008.01.27
김명국 달마도  (0) 2008.01.27
청광화백달마도  (0) 2008.01.27
(종교)시인 김지하의 달마도  (0) 2008.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