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 술 방**/<기술자료>

전기기초 이론 정리

미래로보텍 2008. 4. 13. 16:05

전기기초 이론 정리

 

전기기초 이론 정리

○ 출력
       
  전동기의 축에서 낼 수 있는 동력, 즉 출력(output)이 어느 정도인가를 와트(W)
  또는 킬로와트(KW)의 단위로 나타낸다.

  출력은 단위 시간에 전동기가 할 수 있는 일의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1W는 1초간에
  1m 1주울(J) =1[N·m) = 1/9.8(kgf·m)의 일을 하는 능력을 나타낸다.
   
  1W의 전동기는 1뉴턴 (N) (1/9.8kgf)의 힘에 저항하면서 물체를 1초간에 1m의
  비율로 계속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이 있다. 1 (Hp) = 746 (W) 이다.

전기약어2 정리

 

▶ HA : Home Automation (가정 자동화)
▶ HBT : Hetero Bipolar Transistor (헤테로바이폴라 트랜지스터)
▶ HDD : Hard Disk Drive
▶ HEMT : High Electron Mobility Transformer
▶ HF : High Frequency (고주파)
▶ HIC : Hybrid IC (혼성 집적 회로)
▶ Hi-Fi : High-Fidelity (고충실도)
▶ HMI : Human Machine Interface
▶ HTL : High Level Transistor (고수준 트랜지스터 논리)
▶ HUD : Headup Display
▶ Hz : Hertz

I

▶ IA : Isolation Amplifier (아이솔레이션 증폭기)
▶ IAEA :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ssociation (국제원자력 기관)
▶ IAGC : Instantaneous Automatic Gain (순시 자동 이득 조절)
▶ IARU : International Amateur Radio Union (국제 아마츄어 무선협회)
▶ IBS : INTELSAT Business Service, Intelligent Building System
▶ ICT : Insulating Core Transformer (절연 철심 변압기)
▶ IDF : Intermediate Distributing Frame (중간 배선판)
▶ IE : Industrial Engineering (산업공학)
▶ IEC :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국제 전기 표준 회의)
▶ IEEE :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s (전기 전자 학회)
▶ IF : Intermediate Frequency (중간 주파수)
▶ IFRB : International Frequency Registration Board (국제 주파수 등록 위원회)
▶ IFT : Intermediate Frequency Transformer (중간 주파 트랜스)
▶ IGBT :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고전력 스위칭용 반도체)
▶ IGFET : Insulated Gate FET (절연 게이트 FET)
▶ ILD : Injection laser Diode (주입형 레이저 다이오드)
▶ IM : Induction Motor (유도 전동기), Integration Motor (적분 모터)
▶ INMARSAT : International Marine Satellite Consortium (국제 海事 위성 기구)
▶ INS : Inertial Navigation System (관성 항법 장치)
▶ IOCS : Input Output Control System (입출력 제어 시스템)
▶ IP : Integer Programming (정수 계획법), Information Provider (정보 제공자)
▶ IPL : Initial Program Loader (초기 프로그램 적재기)
▶ IR : Infrared (적외선)
▶ IRS : Inertial Reference System (관성 기준 장치)
▶ ISDN :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ing (종합 정보 통신망)
▶ ISO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 표준화 기구)
▶ ISU : International System of Units (국제 단위계)
▶ ITCG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Convention Geneva (국제 전기 통신 조약)
▶ ITDM : Intelligent Time Division Multiplexing (지능 시분할 다중화)
▶ ITU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국제 전기 통신 연합)
▶ I²L : Integrated Injection Logic (직접 주입 논리 회로)

J

▶ JFET : Junction FET (접합형 FET)
▶ JIS :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 (일본 공업 규격)

K

▶ KDP : Kalium Dihydrogen Phosphate (인산 2수소 칼륨)
▶ KODAS : Korea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한국형 배전자동화 시스템)
▶ KS : Korean Standards (한국 공업 규격)
▶ KSR : Keyboard Send/Receive set (건반 송수신 장치)
▶ KTN : Kalium Tantalum Niobate (칼륨 탄탈륨 니오브)
▶ kVA : Kilovolt Ampere
▶ kW : Kilowatt
▶ kWh : Kilowatt Hour

L

▶ LA : Laboratory Automation (실험실 자동화)
▶ LAN :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 LANER : Light Activated Negative Emitter Resistance (래너, GND의 일종, 가시광선을 발광하는것)
▶ LAS : Light Activated Switch (광 스위치)
▶ LASCR : Light Activated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광 SCR)
▶ LCD : 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장치)
▶ LCU : Line Control Unit (회선 제어 유닛)
▶ LD : Laser Diode, Laser Disk
▶ LDV : Laser Doppler Velocimeter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
▶ LED : 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
▶ LF : Low Frequency (저주파)
▶ LID : Leadless Inverted Device (직결 반전 디바이스)
▶ LNA : Low Noise Amplifier (저잡음 증폭기)
▶ LSI : Large Scale Integration (대규모 집적 회로)
▶ LSTTL : Low power Shottky Transistor Transistor Logic
▶ LUF : Lowest Usable Frequency (최저 사용 주파수)

M

▶ MADT : Micro Alloy Diffused Transistor (마이크로 앨로이 확산형 트랜지스터), Mean Actual Down Town (평균 정지 시간)
▶ MAN : Medium Area Network (중규모 지역 통신망)
▶ MAP : Manufacturing Automation Protocol (제조 자동화 프로토콜)
▶ MBB Contact: Make Before Break Contact (MBB 접점)
▶ MBE : Molecular Beam Epitaxy (분자선 에피탁시)
▶ MCCB : Metal Clad Circuit Breaker
▶ MCSG : Metal Clad Switch-Gear
▶ MBM : Magnetic Bubble Memory (자기 버블 기억장치)
▶ MDF : Main Distribution Frame (주배선반)
▶ MDI : Magnetic Direction Indicator (자기 방향 지시기)
▶ MDS : Microcomputer Development System (마이크로 컴퓨터 개발 시스템)
▶ ME : Medical Electronics (의용 전자공학), Micro Electronics, Molecular Electronics
▶ MES-FET : Metal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금속반도체 효과 트랜지스터)
▶ MF : Medium Frequency wave (중파)
▶ MHD Generation : Magneto Hydrodynamics Generation (전자 유체 역학 발전)
▶ MICR : Magnetic Ink Character Reader (자기 잉크 문자 판독장치)
▶ MIS :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경영 정보 시스템)
▶ MISIC : Metal Insulated Semiconductor IC (미스 IC, 금속 절연 반도체 집적 회로)
▶ MKS units : Meter Kilogram Second (MKS 단위계)
▶ MKSA : Meter Kilometer Second Ampere (MKS 단위계에 전류의 단위 암페어를 더한 전자기 단위)
▶ MMIC : Monolithic Microwave IC (모노리식 마이크로파 집적회로)
▶ MNOS : Metal Nitride Oxide Semiconductor (금속 질화 산화막 반도체)
▶ MOCVD : Organometallic Compound CVD (유기 금속 CVD법)
▶ MOS : 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막 반도체)
▶ MOS FET :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 MPU : Microprocessor Unit
▶ MTBF : Mean Time Between Failure (평균 고장 간격 시간)
▶ MTE : Mean Time between Error (평균 오류시간)
▶ MTTF : Mean Time To Failure (평균 고장 시간)
▶ MTTR: Mean Time To Repair (평균 수리 시간)
▶ MUF : Maximum Usable Frequency (최고 사용 주파수)
▶ MUT : Mean Up Time (평균 동작 시간)
▶ MUX : Multiplex (다중화)

N

▶ n : Nano
▶ NTSC System: 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System (NTSC TV 방송방식)
▶ NC : Numerical Control (수치 제어)
▶ NCU : Network Control Unit (망 제어 장치)
▶ NdPP : Neodymium Pentaphosphate (5인화 네노디움, 고능률 고체 레이저에 사용)
▶ NFB : No Fuse Breaker (배선용 차단기)
▶ NIS : National Information System (국가 정보 시스템)
▶ NMR : Nuclear Magnetic Resonance (핵 자기 공명)
▶ NRZ : Non Return to Zero (비 복귀기록)
▶ NRZI : Non Return to Zero Inverted (비 제로 복귀 반전)

O

▶ OA : Office Automation (사무 자동화)
▶ OBD : Optical Bistable Device (광2안정 소자)
▶ OCB : Oil Circuit Breaker (유입 차단기)
▶ OCR :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광학식 문자인식)
▶ OCS : Operation Control System
▶ OEIC : Optoelectronics Integrated Circuit (광전자 집적 회로)
▶ OEM :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자)
▶ OF Cable : Oil Filled Cable
▶ OFT : Optical Fiber Tube (광 섬유관)
▶ OLTC : on Load Tap Changer (부하시 탭 전환장치, 변압기에 사용)
▶ OLTS : on Line Test System
▶ OLVR : on Load Voltage Regulator (부하시 전압조정기)
▶ OMR : Optical Mark Reader (광학식 마크 판독장치)
▶ OMS : Ovonic Memory Switch
▶ OPC : Organic Photoconductive Cell (유기 광도전체)
▶ OPT : Out Put Transformer (출력 변성기)
▶ OR : Operating Register (발진 레지스터)
▶ OT : Output Trunk (출력 트렁크)
▶ OTF : Optical Transfer Function (광학적 전달함수)
▶ OTL : Output Transformerless (무변성 출력)
▶ OCGR : Over Current Ground Relay (과전류 접지 계전기)
▶ OCR : Over Current Relay (과전류 계전기)
▶ OL : Over Load (과부하)
▶ OLR : Over Load Relay (과부하 계전기)
▶ OVR : Over Voltage Relay (과전압 계전기)
▶ OWF : Optimum Working Frequency (최적 주파수 사용)

P

▶ PABX : Private Automatic Exchanger (구내 자동 교환기)
▶ PAL system : Phase Alternating by Line system (PAL TV 방송방식)
▶ PAM : Pulse Amplitude Modulation (펄스 진폭 변조)
▶ PCB : Printed Circuit Board (프린트 배선 회로용 기판)
▶ PCM : Pulse Code Modulation (펄스 부호 변조)
▶ PCS : Punch Card System (천공 카드 시스템)
▶ PDM : Pulse Duration Modulation (펄스 지속 변조)
▶ PDP : Plasma Display Panel
▶ PE : Power Electronics
▶ PF : Power Factor (역률)
▶ pF : pico Farad (용량 단위)
▶ PFM : Pulse Frequency Modulation (펄스 주파수 변조)
▶ PHS : Personal Handyphone System
▶ PIV : Peak Inverse Voltage (피크 역전압)
▶ PLC :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 PM : Phase Modulation (위상 변조)
▶ PNM : Pulse Number Modulation (펄스수 변조)
▶ PT : Potential Transformer (계기용 변압기)
▶ PPM : Pulse Phase Modulation (펄스 위상 변조)
▶ PR : Protective Ratio (보호비)
▶ PSK : Phase Shift Keying (위상 偏移 방식)
▶ PTM : Pulse Time Modulation (펄스 시간 변조)
▶ PWM : Pulse Width Modulation (펄스 폭 변조)

Q

▶ QAM :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직교 진폭 변조)
▶ QED : Quantum Electro Dynamics (양자 전자기학)

R

▶ RAM : Read Access Memory
▶ RCTL : Resistor Condenser Transistor Logic (저항 콘덴서 트랜지스터 논리회로)
▶ RDF : Radio Direction Finder (무선 방위 측정기)
▶ RF : Radio Frequency (무선 주파수)
▶ RIF : Radio Influence Field (무선 유도계)
▶ RMI : Radio Magnetic Indicator (무선 자기 방위 지시장치)
▶ RMS value : Root Mean Square value (실효값)
▶ ROM : Read only Memory
▶ RTCF : Real Time Control Facility (실시간 처리기능)
▶ RTL : Resistor Transistor Logic (저항 트랜지스터 논리회로)
▶ RTS : Request To Send (송신 요구)

S

▶ SAMOS : Stacked Avalanche Injection MOS (사모스)
▶ SAW : Surface Acoustic Wave (찬성 표면파)
▶ SCADA : Supervisory Control & Data Acquisition (지역 급전 시스템)
▶ SCL transistor : Space Charge Limited transistor
▶ SCR :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실리콘 제어 정류기)
▶ SCS : Silicon Controlled Switch (실리콘 제어 스위치)
▶ SEC : Secondary Electron Conduction (2차 전자 도전작용)
▶ SI : System Integration
▶ SiC : Silicon Carbide (탄화 규소)
▶ SIP : Single In-line Package
▶ SIT : Silicon Intensifier Target tube (SIT 관), Static Induction Transistor (정전유도형 트랜지스터)
▶ SOI : Semiconductor on Insulator (절연 기판상의 반도체)
▶ SPST : Single Pole Single Throw (단극 단투 개폐기)
▶ SQUID : Super Conducting Quantum Interference Device (스퀴드)
▶ S/S : Substation (변전소)
▶ SS cable : Self Supporting cable (자기지지형 가공 케이블)
▶ SSG : Standard Signal Generator (표준신호 발생기)
▶ SSPG : Spread Solar Power Generator (위성 태양 발전)
▶ STC : Sensitivity Time Control (감도의 시간 조정)

T

▶ TBC : Time Base Correction (시간축 교정장치)
▶ TC : Transmission Control (전송제어)
▶ TCM : Time Compression Multiplexing (시분할 방향 제어 전송방식)
▶ TCU : Transmission Control Unit (전송제어장치)
▶ TD : Transmitter Distributor (자동 송신기)
▶ TDM : Time Division Multiplex (시분할 다중방식)
▶ TDMA :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원 접속)
▶ TED : Transfer Electron Device
▶ TFT : Thin Film Transistor (박막 트랜지스터)
▶ TG : Turbine Generator (터빈 발전기)
▶ TGC : Triglycine Sulfate (황산 트리글리신)
▶ TGS : Triglysine Sulphate (황산 트리글리신)
▶ TSC : Thermally Stimulated Current (열자극 전류)
▶ TSI : Threshold Signal to Interface ratio (임계신호 대 방해 신호비), Time Slot Interchange (타임 슬롯 교환)
▶ TSL : Three State Logic
▶ TSS : Time Sharing System (시분할 방식)
▶ TTL : Transistor Transistor Logic
▶ TWT : Travelling Wave Tube (진행파관)

U

▶ UHF : Ultra High Frequency (극초단파)
▶ UJT : Uni-Junction Transistor (단접합 트랜지스터)
▶ UPS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무정전 전원장치)

V

▶ VAC : Volts Alternating Current (교류전압)
▶ VCB : Vacuum Circuit Breaker (진공 차단기)
▶ VEF : Vacuum Electric Furnace (진공 전기로)
▶ VI : Vacuum Interrupter (진공 인터럽터)
▶ VPI : Vacuum Pressure Impregnation (진공함침)
▶ VAN : Value Added Network (부가가치 통신망)
▶ VVVF : 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가변 전압 가변 주파수)
▶ VCM : Voice Coil Motor
▶ VCO :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전압제어 발진기)
▶ VDT : Visual Display Terminal (영상 표시 단말장치)
▶ VF Converter : Voltage Frequency Converter (전압 주파수 변환기)
▶ VFD : Visual Fluorescent Display (가시형광 표시장치)
▶ VFO : Variable Frequency Oscillator (가변 주파수 발진기)
▶ VHF : Very High Frequency (초단파)
▶ VRS : Video Response System (화상 응답 시스템)
▶ VSB : Vestigial Side Band (잔류 측파대)
▶ VSWR : Voltage Standing Wave Ratio (전압 정재파비)
▶ VTVM : Vacuum Tube Volt Meter (진공관 전압계)
▶ VU : Volume Unit (음량 단위)

W

▶ WAN : Wide Added Network (광역 통신망)
▶ WDM :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파장 다중 분할)

X

▶ XMT : Transmit (송신)
▶ XUV : Extreme Ultraviolet radiation (극자외선)

Y

▶ YAG : Yttrium Aluminum Garnet (이트륨 알루미늄 가닛)
▶ YIG : Yttrium Iron Garnet (이트륨 철 가닛)



○ 부하

  ▷ 전부하 : 정격 출력의 상태
  ▷ 무부하 : 공회전 상태
  ▷ 과부하 : 정격 출력 이상의 상태


○ 유효전력[W]

  전원에서 공급되어 부하에서 유효하게 이용되는 전력, 전원에서 부하로 실제
  소비되는 전력

  ▷ 유효, 피상전류에 따른 계산

     유효전력[P] = 전압[V] x 유효전류[I]  
     유효전력[P] = 전압[V] x 피상전류[I] x 역률[%]

  ▷ 직류, 교류에 따른 계산

     직류전동기 전력(P) = 전압 (V) * 전류(I)
     교류전동기 전력(P) = 전압 (V) * 전류(I) * 역률 (cosφ)

  ▷ 단상, 3상에 따른 계산
   
     단상의 전동기 유효전력

       P [W] = V * I * cosφ
           P : 유효전력
           V : 정격 전압 (V)
           I : 정격 전류 (A)
       cosφ : 정격 전류일 때의 역률(퍼 유니트값)

     3상 교류의 전동기 유효전력

       P [W] = 3 * Vφ * Iφ * cosφ =  √(3) * V * I * cosφ

            V : 정격 전압 (V),  Vφ : 상전압 (v)
            I : 정격 전류 (A),  Iφ : 상전류 (i)
        cosφ : 정격 전류일 때의 역률(퍼 유니트값)


○ 무효전력[Var]

  실제로는 아무런 일을 하지않아 부하에서는 전력으로 이용될 수 없는 전력,
  실제로 아무런 일도 할 수 없는 전력.

  인가 전압과 위상이 90°다른 전류. 이 전류는 실제로 전력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무효 전력이라고 한다.

  ▷ 단상, 3상에 따른 계산
   
     단상의 전동기 무효전력

       Pr [VAR] = V * I * sinθ
         Pr : 무효전력
           V : 정격 전압 (V)
           I : 정격 전류 (A)

     3상 교류의 전동기 무효전력

       Pr [W] = √(3) * V * I * sinθ

            V : 정격 전압 (V)
              I : 정격 전류 (A)

○ 피상전류 [VA]

  일반적으로 전기 기기에는 유효전류와 무효전류가 함께 흐르고 있으며 이들의
  합을 말한다.


  - 유효·무효·피상전력 사이의 관계 :  Pe = √(P^2 + Pr^2)
 
      P  : 유효전력
      Pr : 무효전력
      Pe : 피상전력
    ※ 삼각함수에서 sinθ^2 + cosθ^2 = 1

○ 역률

  피상 전력 중에서 유효전력으로 사용되는 비율, 역률은 최고가 1이고 최저는 0이다.
  전열기나 백열전구와 같이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는 것에서는 역률은 1임

    역률[%] = 유효전력[KW] / 피상전력[KVA]
    cos θ =  P / Pe = (V * I * cos θ) / (V * I)

    * φ : 위상각의 차이

    피상전류(KVA) = √(3) * V * I = 유효전류(P) / cosφ


○ 전력손실

   따라서 역률(cosθ)이 증가함에 따라 설비용량이 적어지며, 변압기에서 공급
   되는 부하는 증가한다. 동력선에서의 전력손실(△p)은 다음식으로 계산한다.

   △p = K * 1 / cosφ^2   (@ K : 비례상수)


○ 전압강하

   역률(cosθ)이 증가하면 전력손실 (Joule Effect)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이
   즉각 확인된다.
   그러므로 시설비는 적게 들고 설비의 수명은 길어진다.
   전압강하 (△V)는 다음식으로 계산한다.

   △V = K1 * 1 / cosφ^2   (@ K1 : 비례상수)


○ 효 율
   
   
  입력 모두가 모두 출력으로 바뀌는 것이 아니라 입력의 일부는 전동기 내에서
  손실로서 소비되고, 그 나머지가 출력으로서 나오게 된다. 효율은 출력과 입력의
  비로 표시된다

    η= Po / Pi (퍼 유너트값)    

      Pi = 입력
      W = 손실
      η = 효율

  손실은 전동기가 운전중에 가열되는 원인이 된다. 출력과 입력의 관계의 정리
  이상 설명한 것을 요약하면,

  ▷ 단상 유도 전동기의 출력  Po = ηPi = VIηcosφ
  ▷ 3상 유도 전동기의  출력  Po = ηPi =  √3 VIηcos φ


○ 회전속도 슬립

    전동기가 정격 전압, 정격주파수하에서 정격출력을 내면서 운전하고 있을
    때의 매분의 회전수를 정격회전속도라고 한다 (RPM = Revolution Per Min)

    전동기의 내부에는 몇 개의 자극이 형성되는데 1쌍의 자극이 생기는 것을
    2극, 2쌍의 자극이 생기는 것을 4극, 3쌍의 자극이 생기는 것을 6극이라 한다.

    3상 권선에 3상 교류를 흘리면 극수에 따라 자극이 생기고, 이것이 전류의
    교번과 더불어 회전한다.
    이와 같이 코일이 정지하고 있고, 자극만이 회전하는 것을 회전자장이라고
    부른다. 이회전 자장은 반사이클 마다 다음의 극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자장이
    회전하는 동기 속도는

            Ns= 120 f / P (rpm)

                  f = 주파수 (Hz)
                  P = 극수

    유도 전동기는 무부하에서는 거의 Ns와 같은속도로 회전자가 회전하지만, 부하를
    걸면 회전속도가 수% 정도 느려진다. 이것을 슬립 (slip) 이라고 한다.

    예를들면 p = 4, f = 60 (Hz)이면 동기 속도는  

             Ns =120×60/4 = 1800(rpm),  

    정격 회전 속도 1720 RPM (220V의 경우)이므로 슬립은

            Slip= (1800-1720) / 1800 = 0.044          

    즉, 4.4% 이다.

 

전기약어 사전


▶ ABC : Automatic Brightness Control (자동 휘도 조절)
▶ ABCC : Automatic Brightness and Contrast Control (자동 휘도 콘트라스트 조절)
▶ AC : Alternating Current (교류)
▶ ACAS : Airborne Collision Avoidance System (기상 충돌 방지 장치)
▶ ACB : Air-blast Circuit Breaker (공기 차단기), Air Circuit Breaker (기중 차단기)
▶ ACSR : Aluminum Cable Steel Reinforced (강심 알루미늄 연선)
▶ ADC : Analog Digital Converter (아나로그 디지탈 변환기)
▶ ADF : Automatic Direction Finder (자동 방위 측정기)
▶ ADM : Adaptive Delta Modulation (적응 델타 변조)
▶ ADPCM : Adaptive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적응 차등 펄스 부호 변조방식)
▶ ADS : Automation Distribution System (배전 자동화 시스템)
▶ AF : Audio Frequency (가청 주파수)
▶ AFC : Automation Frequency Control (자동 주파수 제어)
▶ AFT : Automation Fine Tuning (자동 세밀 조정)
▶ AGC : Automation Gain Control (자동 이득 제어)
▶ AI : 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 지능)
▶ AM : Amplitude Modulation (진폭 변조)
▶ AMP : Ampere (암페어)
▶ ANSI :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미국 규격협회)
▶ AP : Apparent Power (피상 전력)
▶ APF : Active Pass Filter (능동 필터)
▶ ARQ : Automatic Request Question (자동 오자 정정 장치)
▶ ARS : Automatic Route Selection (자동 경로 선택)
▶ ARU : Audio Response Unit (음성 응답 장치)
▶ ASIC : Application Specific IC (응용 주문형 집적회로)
▶ ASK : Amplitude Shift Keying (진폭 위상 변조)
▶ ASR : Automatic Send/Receive set(자동 송수신 장치)
▶ ATC : Automatic Train Control, Automatic Traffic Control (자동 열차 제어, 자동 교통 제어)
▶ AVM : Automatic Vehicle Monitoring system (차량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
▶ AVR : Automatic Voltage Regulator (자동 전압 조정기)

B

▶ BA : Bridging Amplifier (분기 증폭기)
▶ BAS : Building Automation System (빌딩 자동화 시스템)
▶ BSO : Bismuth Silicon Oxide (비스무트 규소 산화물)
▶ BTL : Balanced Transformerless (비티엘)
▶ BWO : Backward Wave Oscillator (후진파 발진관)

C

▶ CAD : Computer Aided Design (컴퓨터를 이용한 설계)
▶ CAE : Computer Aided Engineering (컴퓨터를 이용한 엔지니어링)
▶ CAI : Computer Aided Instruction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
▶ CAL : Computer Aided Learning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
▶ CALS : Commerce at Light Speed
▶ CAM :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컴퓨터를 이용한 제조)
▶ CAT : Computer Aided Testing, Computerized Axial Tomography (컴퓨터를 이용한 검사)
▶ CATV : Cable TV, Community Antenna TV (공동시청 TV)
▶ CAV : Constant Angular Velocity (정 각속도)
▶ CB : Citizen Band transceiver (생활 무선)
▶ CCD : 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 CCIR : International Radio Consultative Committee (국제 무선통신 자문 위원회)
▶ CCITT : International Telegraph and Telephone Consultative Committee (국제전신전화 자문위원회)
▶ CCNR : Current Controlled Negative Resistance (전류제한 負 저항)
▶ CCTV : Closed Circuit TV (폐쇄회로 TV)
▶ CD-ROM :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 CDK : Communication Deck (회선 감시 장치)
▶ 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부호 분할 다중 접속)
▶ CDRX : Critical Damping Resistance External (임계 제동 외부저항)
▶ CDT : Cyclic Digital Transmission (사이클릭 디지털 정보 전송)
▶ CEP : Circular Error Probable (확률 오차원)
▶ CFF : Critical Fusion Frequency (임계 융합 주파수)
▶ CFRP : Carbonfiber Reinforced Plastics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 CIE : Commission International de I'Eclairage (국제 조명 위원회)
▶ CIM :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컴퓨터에 의한 통합 생산)
▶ CLV : Constant Linear Velocity (정 선속도 방식)
▶ CML : Current Mode Logic (전류 논리 모드)
▶ CMRR : Common Mode Rejection Ratio (동상 전압 제거비)
▶ CNC : Computer Numerical Control (컴퓨터 수치 제어)
▶ COAX : Coaxial Cable (동축 케이블)
▶ CODEC : COder-DECoder (부호기와 복호기)
▶ COHO : Coherent Oscillator (코히어런트 발진기)
▶ CRT : Cathode Ray Tube (음극선관)
▶ CSD : Constant Speed Drive unit (정속 구동장치)
▶ CSWR : Current Standing Wave Ratio (전류 정재파 비)
▶ CT : Current Transformer (계기용 변류기)
▶ CTD : Charge Transfer Logic (전하 전송 소자)
▶ CTL : Complementary Transistor Logic (상보 트랜지스터 논리)
▶ CTR : Critical Temperature Resistor (임계 온도 저항기)
▶ CVCF : Constant Voltage Constant Frequency (정전압 정주파 전원)
▶ CVD :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화학 기상 성장법)

D

▶ DAC : Digital Analog Converter (디지털 아나로그 변환기)
▶ DAS :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배전자동화 시스템)
▶ dB : Decibel
▶ DC : Direct Current (직류)
▶ DCS : Distributed Control System (분산 제어 시스템)
▶ DDC : Direct Digital Control (직접 디지털 제어)
▶ DF : Dumping Factor (제동 계수)
▶ DG : Differential Gain (미분 이득)
▶ DG/DF : Differential Gain/Differential Phase (미분 이득/미분 위상)
▶ DH : Double Heterostructure (더블 헤테로 접합)
▶ DIN : Deutsches Institut fur Normung (독일 국가 규격)
▶ DNC : Direct Numerical Control (직접 수치 제어)
▶ DP : Differential Phase (미분 위상)
▶ DPCM : Differential Pulse Code Modulation (差分 펄스 부호 변조방식)
▶ DPSK : 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差分 위상 시프트 키잉)
▶ DSM :Demand Side Management
▶ 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디지털 신호처리 장치)
▶ DVM : Digital Voltmeter (디지털 전압계)
▶ DYNAMO : Dynamic Model (다이나모, 연속 시스템 시뮬레이터의 하나)

E

▶ EBM : Electron Beam Machining (전자 빔 가공)
▶ EC : Electronic Commerce (전자 상거래)
▶ ECCS : Electronic Concentrated Engine Control System (전자 집중 엔진제어 시스템)
▶ ECG : Electrocardiogram (심전도)
▶ ECTL : Emitter Coupled Transistor Logic (이미터 트랜지스터 논리회로)
▶ EDM : Electrical Discharging Machining (방전 가공)
▶ EDR : Equivalent Direct Radiation (相當 방열 면적)
▶ EGE system : Engine 1, 2대를 구동하여 교류출력 발생 (무정전 전원장치의 한 방식)
▶ EG-MG system : Engine-Magnet(무정전 전원장치의 한 방식)
▶ EIA : Electronic Industrial Association (미국 전자 공업회)
▶ EIRP : Effective Isotropically Radiated Power(실효 등방 방사 전력)
▶ EL : Electroluminescence (전자 발광)
▶ EMC :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전자적 접합성)
▶ EMF : Electromotive Force (기전력)
▶ EMG system : EMG 방식 (Three Engine system)
▶ EMI :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전자기 방해)
▶ EMS : Energy Management System (중앙 급전 시스템)
▶ EPIRB : Emergency Position Indicating Radio Beacon (비상용 위치표시 무선장치)
▶ ERP : Effective Radiation Power (실효 방사 전력)
▶ ESP : Electron Spin Resonance (전자 스핀 공명)
▶ EWS : Engineering Workstation

F

▶ FA : Factory Automation (공장 자동화)
▶ FCI : Flux Changes per Inch (매 인치 당 자속 반전수)
▶ FD : Floppy Disk
▶ FDM :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communication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 FDMA :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Access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
▶ FEC : Forward Error Correction (순방향 오류 정정법)
▶ FCC : Federal Communication Commission (미국 연방 통신 위원회)
▶ FET : Field Effect Transistor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 FG : Frame Ground (프레임 접지)
▶ FGA : Floating Gate Amplifier (부동 게이트 증폭기)
▶ FM : Frequency Modulation (주파수 변조)
▶ FMEA : Failure Mode Effect Analysis (고장 모드 효과 해석)
▶ FMS :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다품종 소량 생산 시스템)
▶ FOT : Frequency of Optimum Traffic (최적 사용 주파수)
▶ FRP :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s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 FSK : Frequency Shift Keying (주파수 편이 방식)
▶ FSS : Flying Spot Scanner (飛點 주사 장치)
▶ FTC : Fast Time-constant Circuit (소 시상수 회로)
▶ FTTH : Fiber to the Home

G

▶ Ga-As : Gallium Arsenide (갈륨 비소)
▶ GCA : Ground Control Approach (지상 관제 진입 장치)
▶ GCB : Gas Circuit Breaker (가스 차단기)
▶ GCR : Group Coded Recording (군 부호 기록)
▶ GCS : Gate Controlled Switch (게이트 제어 스위치)
▶ GGG : Godolinium Gallium Garnet (가돌리늄 갈륨 가닛, 갈륨의 일종)
▶ GIS : Gas Insulated Switchgear (가스 차단기)
▶ GND : Ground (갈륨 비소 부성 저항 다이오드)
▶ GPI : Ground Position Indicator (대지 위치 표시기)
▶ GPIB : General Purpose Interface Bus (범용 인터페이스 버스)
▶ 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범용 지구 측위 시스템)
▶ GPSS : General Purpose System Simulator (범용 시스템 시뮬레이터)
▶ GPTE : General Purpose Test Equipment (범용 시험 장치)
▶ GPWS : Ground Proximity Warning System (지상 접근 경보 장치)
▶ GSR : Grounding Short Circuit Relay (이상 지락 검출 계전기)
▶ G/T : Gain over Temperature (이득 초과 온도)
▶ GTO : Gate Turn Off thyristor (게이트 턴오프 사이리스터)

전기약어 정리

 

 

한국 고유의 단위

 

길   이

****1 간 = 6 척 = 6 자 (= 1.818180 m)
****1 정 = 60 간 (= 109.091 m)
****1 리 = 36 정 (= 3927.27 m)


무   게

****1 근 = 160 돈 (= 0.6 kg)
****1 관 = 1000 돈 (= 3.75 kg)


넓   이

****1 정보 = 10 단보 (= 9917.4 m2)
****1 단보 = 300 평 (= 991.74 m2)
****1 평 = 36 평방자 = 6 자 * 6 자 (= 3.3058 m2)


부   피

****1 되 = 10 홉 (= 0.0018039140 m3)
****1 말 = 10 되 (= 0.0180391400

 

 


 

'**기 술 방** > <기술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출 성형기의 구성  (0) 2008.04.13
전동기 종류 및 설명  (0) 2008.04.13
에너지 기술용어3  (0) 2008.04.13
공학용 단위환산표  (0) 2008.04.13
공학용 단위환산표  (0) 2008.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