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도계산 및 환산공식 총정리
▧ 농도계산
1. 백분율 농도
백분율 농도에는 다음과 같은 농도가 있다.
1) v/v %농도 : 용질부피 / 용액부피 * 100 [ℓ/ℓ] → vol % 표시
2) w/w %농도 : 용질무게 / 용액무게 * 100 [g/g] → wt % 표시
* 통상 %농도라 하면 주로 w/w%를 의미한다.
밀도가 1g/ℓ경우 동일한 계산결과가 나옴.
일반적인 물의 밀도 = 1 mg/cm3 = 1 g/mℓ = 1 kg/ℓ
w/w %농도는 무게백분율이라 부르며, v/v %농도는 부피백분율이라고 칭한다.
* 참고
- 무게 (weight) : 물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 중량이라고도 한다.
- 질량 (mass) : 물체의 역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물체 고유의 기본적인 양
2. ppm 농도 [parts per million]
ppm 농도는 어떠한 용질 1mg이 용액 1,000,000 mg (즉 1 kg)중에 들어있는 농도를 말한다.
(단 비중이 1인 경우)
X ppm 농도의 용액을 만들 경우 용질무게 X mg에다, 용질무게를 포함한 용액전체의 무게가 1 kg
(=1,000,000 mg)이 되도록 용매를 넣어주어야 한다.
미량분석의 정량범위, 검출한계 등을 수적으로 표현하는 단위로 ppm 농도와 %농도간의 환산문제을
자주 실시하며,
%는 백분율이므로 1/100이 1%가 된다. ppm은 백만분율이므로 1/1,000,000의 값이 1 ppm이 된다.
따라서 1 = 100% = 1,000,000 ppm 이며, 1% = 10,000 ppm 이다.
그러므로 % 농도를 ppm 단위로 고치려면 10,000 ppm/%를 곱해주어야 한다.
* ppm 농도 = w/w %농도 * 10,000 [ppm/%]
3. ppb 농도 [parts per billion]
수질오염도나 대기오염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ppm 농도와 ppb 농도간의 환산문제을 자주 실시하며,
일반적으로 ppb 농도를 1,000으로 나누면 ppm 단위의 농도가 된다.
단순히 ppb은 1/10^9 을 표현함.
* ppm 농도 = ppb 농도 * [1 ppm/1000ppb]
4. 몰농도 (Molarity : M)
용액 1ℓ에 들어 있는 용질의 몰수를 말하며, M 또는 g-mol/ℓ로 나타낸다.
M = (w / Mw) * (1,000 / V)
☞ w : 용질의 무게(g), Mw : 용질의 분자량(g/g-mol), V : 용액의 부피(mℓ)
M = (10 * w/w %농도 * ρ) / Mw
☞ Mw : 용질의 분자량(g/g-mol), ρ : 용액의 밀도(g/mℓ)
5. 몰랄농도 (Molality : m)
용매 1 kg 중에 용해되어 있는 용질의 몰수(g-mol수), m으로 표시한다.
단위는 [g-mol/kg], 주로 라울의 법칙이나 삼투압 측정 등에 이용된다.
몰랄농도(Molality) = 용질의 g-mol수 / 용매 1 kg
몰랄농도(Molality) = (w / Mw) / (S / 1000)
☞ w : 용질의 무게(g), Mw : 용질의 분자량(g/g-mol), S : 용매의 무게(g)
6. 노르말농도 (Normal : N)
용액 1ℓ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g-당량수로 나타내며, N으로 표시한다.
노르말농도 (N) = 용질 g-당량수 / 용액의 부피(ℓ)
노르말농도 (N) = (w / E) * (1000 / V)
☞ w : 용질의 무게(g), E : 용질 1g 당량수(g/g-당량), V : 용액의 부피(mℓ)
* g 당량수 = 분자량 / (1분자중의 H+ 또는 OH- 수)
7. 몰분율 (molar fraction)
어떤 성분의 몰수(數)와 전체 성분의 몰수와의 비를 말한다.
1,2,3,...i 성분이 각각 n1, n2, n3,...ni 몰씩 섞여진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하면
혼합물의 총 몰수는
N = n1 + n2 + n3 + ......ni
i 성분의 몰분율은 Xi = ni/N
각 성분의 몰분율을 모두 합하면 1이 된다.
X1 + X2 + X3 + ....Xi = n1/N + n2/N + n3/N+ .....ni/N
= (1/N)( n1 + n2 + n3+ ... + ni) = N/N = 1
으로 계산이 되어진다.
8. 몰백분율
몰분율(分率)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
9. 중량비
용질의 g수를 용매의 g수로 나눈 값
10. 몰비(比)
용질의 몰수를 용매의 몰수로 나눈 값
▧ 농도환산
1. %농도 → 몰농도(M)
공식 ☞ 비중(밀도) * 1000 * [%농도 / 100 %] * [1 / 분자량] = M 농도
2. %농도 → 노르말농도(N)
공식 ☞ 비중(밀도) * 1000 * [%농도 / 100 %] * [1/ 1g 당량의 무게] = N 농도
3. M농도 → N농도
공식 ☞ M 농도 * (H+농도 또는 OH-농도) = N 농도
4. 용해도 → %농도
공식 ☞ %농도 = [용해도 / (100 + 용해도)] * 100 %
▧ 기타 필요공식
1. 몰분율 (mole fraction) : 한 성분의 몰수를 성분전체의 몰수 나눈 값
n1, n2 : 각 성분의 몰수
X1, X2 : 각 성분의 몰분율
X1 = n1 / (n1 + n2), X2 = n2 / (n1 + n2)
X1 + X2 = 1
2. 희석 또는 농축에 대한 계산
M1 * V1 = M2 * V2
* M1, M2 : 혼합전/후의 몰농도
* V1, V2 : 혼합전/후의 용액부피
(M1 * V1) + (M2 * V2) = M3 * (V1 + V2)
* M1, M2 : 혼합전 용액1, 용액2의 몰농도
* M3 : 혼합후 용액3의 몰농도
* V1, V2 : 용액1, 용액2의 용액부피
※ 농도에 대한 참고사항
- M농도, N농도는 온도에 영향을 받으나, %농도, m농도는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산(염기)당량이란? : 1몰의 H+(OH-)을 낼 수 있는 산(염기)의 양
* 산(염기) 1g 당량 = 산(염기) 1몰 / H+수(또는 OH-수)
예) HCl 1몰 : 1g 당량
H2SO4 1몰 : 2g 당량
'**공 식 방** > <기계공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성이론의 기초 (0) | 2008.04.13 |
---|---|
밀도, 비중, 비중량의 정리 (0) | 2008.04.13 |
반응속도 (0) | 2008.04.13 |
반응열 反應熱 (heat of reaction) (0) | 2008.04.13 |
삼투압 (osmotic pressure) (0) | 2008.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