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
24K Gold Plating 제조공정 |
|
|
22 |
Art Inserting 제조공정 |
|
|
23 |
Bead Blasting 제조공정 |
|
|
24 |
주방기기생산공정 |
|
|
25 |
금속섬유(2) |
메탈파이버란? 사용분야 금속섬유의 적용분야 메탈파이버의 특성 |
|
26 |
스텐레스제품 생산공정 |
스텐레스제품 생산공정 |
|
27 |
형강제품 제조공정 |
|
|
28 |
알루미늄 합금소재 제조공정 |
|
|
29 |
알루미늄(2) |
1.알루미늄 역사
2.알루미늄 성질
3.알루미늄 용도 |
|
30 |
금속제련의 원리(광석의 제련예비처리) |
1.광석의 제련예비처리
가.건조 및 하소
(1)하소(calcination)
(2)배소(roasting)
나.배소법의 종류
(1)산화법
(2)환원배소
(3)염화배소, 불화배소
(4)소오다배소
(5)배소로
(6)반사로
(7)회전로
(8)다단배소로
(9)플래쉬배소로(flash roaster)
(10)유동배소로
다.단광 및 소결
(1)단광(團鑛, briquetting)
(2)펠레타이징
(3)소결 |
|
31 |
금속제련의 원리(건식제련(乾式製鍊)) |
1.용융제련(熔融製鍊)
(1)용련 생성물
가.매트(matte) / 스파이스(speise) 제련
(1)매트, 스파이스제련의 기본원리
(2)로(爐) 및 조업(操業)
(3)정저법 (top-and-bottom process orford process)
나.환원 및 휘발제련
(1)산화물의 환원
(2)휘발제련
다.건식정련(乾式精鍊)
(1)용리(溶離)에 의한 정련
(2)대정제(帶精製, Zone refining)
(3)제 3 금속의 첨가에 의한 정련
(4)증류에 의한 정련
(5)산소, 유황, 염소와 친화력의 차이 를 이용하는 방법
(6)열해리에 의한 정련
(7)기타 법에 의한 정련
|
|
32 |
금속제련의 원리(습식제련(濕式製鍊)) |
1.반응열역학
가.표준자유에너지 및 평형상수
나.산화전위(酸化電位)
다.고상-액상간의 평형
라.물의 안정구역
마.전위-pH diagram(Pourbaix diagram)
2.침출반응속도(浸出反應速度)
가.확산율속반응 (diffusion controlled process)
나.중간형 반응속도
3.침출(leaching)
가.침출제
나.박테리아의 영향
4.침출법(浸出法)
가.현장침출(leaching in place)
나.힙(heap) 또는 덤프(dump)침출
다.배트(vat) 침출
라.교반식(攪拌式) 펄프침출
마.가압침출
5.고액분리(solid-liquid separation)
가.농축(thickening)
나.여과(filtration)
다정액(solution purification)
6.금속의 회수
가.금속이온의 가스환원
나.이온교환수지법 (ion-exchange extraction)
다.용매추출법 (solvent extraction technique) |
|
33 |
금속제련의 원리(전해제련 및 정련) |
1.전기분해의 원리
(1)반쪽전지반응
(2)파라데이의 법칙(Faraday’s law)
(3)전해조전압
가.용융염 전해
(1)알루미늄
나.전해정련
(2)동정련 |
|
34 |
금속제련의 원리(동제련) |
1.서론
◆ 광석
◆ 동제련의 개념
2.예비처리
◆ 배소(roasting)
◆ 소결(sintering)
◆ 단광
3.매트용련
◆ 매트용련의 화학 ◆ 용광로 매트용련
◆ 반사로 매트용련
◆ 전기로 매트 용련
◆ 플래시 매트 용련
4.제동(製銅)
◆ 제동의 화학
5.조동연속제련법(continuous production of blister copper)
◆ 단단법(Single-step process)
◆ Noranda법
◆ Worca 법
◆ Mitsubishi 법
6.건식정련
◆ 반사로의 구조
◆ 조업
7.습식제련법
◆ 습식제련반응 |
|
35 |
금속제련의 원리(연제련) |
1. 광석
가. 제련법의 분류 및 제련예비처리
◆ 연광소결의 화학
◆ 소결법
나. 용련법
◆ 용련로 내의 화학반응
◆ 용광로제련법
◆ I.S.F 제련법
◆ Lurgi 제련법
◆ BBU제련법
◆ 로의 직접제련법
다. 조연의 정련법
◆ 건식정련법
◆ 전해 정련법 |
|
36 |
금속제련의 원리(아연제련) |
1. 광석
◆ 배소
◆ 배소로 및 배소조업
가. 습식제련법
◆ 침출
◆ 정액(purification)
◆ 전해
◆ 침출잔재처리법
나. 건식제련법
◆ 수직형 증류로에 의한 증류
◆ 전열증류에 의한 증류 |
|
37 |
금속제련의 원리(알루미늄제련) |
1. 알루미늄 자원
◆ 원광석
가. Al2O3의 제조
◆ 알루미나
◆ Al2O3 제조법의 분류
◆ 소결물의 추출
나. Al 의 전해제련
◆ 전해 및 전해조건
◆ 전해로
◆ 전해 조업
◆ Al 지금(地金)
다. Al의 정련
◆ 전해 정련 |
|
38 |
자동차부품 생산공정 |
1.차체부품
2.의장부품 |
|
39 |
주철관 생산공정 |
주철관 생산공정 |
|
40 |
스텐레스 강관 |
1.스텐레스 강관 생산공정
2.치수 허용차및 공급강종
3.표면처리
4.특징및 중량계산공식
5.제품규격에 따른 특성 및 용도
|
|
41 |
압출식 PE강관 생산공정 |
압출식 PE강관 생산공정 |
|
42 |
BP강관 생산공정 |
BP강관 생산공정 |
|
43 |
SP강관 생산공정 |
SP강관 생산공정 |
|
44 |
도복장 강관 생산공정 |
도복장 강관 생산공정 |
|
45 |
금속분말 |
1.개요
2.제조방법
3.종류
4.브레이징용 분말의개요
5.브레이징용 분말의종류 |
|
46 |
알루미늄(1) |
1.알루미늄의 특성
2.알루미늄의 성질
3.알루미늄 합금의 분류 및 특성
4.알루미늄(AL) 합금별 용도
5.알루미늄 합금의 분류 방법
6.알루미늄(AL) 합금 주조재의 화학 성분
7.알루미늄(AL) 합금 전신재의 화학 성분
8.알루미늄(AL) 합금 질 규격(JIS) |
|
47 |
알루미늄의 물리적 특성및 용도 |
알루미늄의 물리적 특성및 용도 |
|
48 |
알루미늄 중량 계산법 |
알루미늄 중량 계산법 |
|
49 |
티타늄(1) |
1.소개
2.특징
3.내식성 DATA
4.용도
5.SPEC
6.생산공정
|
|
50 |
티타늄(2) |
1.티타늄의 생산공정
2.티타늄의 특성
3.티타늄의 응용
4.티타늄의 스펙및기계적특성 |
|
51 |
지르코늄 |
1.소개
2.Spec
3.내식성DATA |
|
52 |
니켈 |
1.소개 2.니켈 합금의 특성 3.HASTELLOY 합금 4.내식성DATA |
|
53 |
금속섬유(1) |
1.금속섬유의 개요
2.금속섬유의 특징
3.금속섬유의 조직구조및 굵기비교
4.금속섬유 소결품의 특성
5.금속섬유의 생산공정및제품형태 |
|
54 |
스테레스강 |
스테인레스강 이란? |
|
55 |
스텐레스 판 |
1.표면 상태 및 가공방법
2.용 도
|
|
56 |
알루미늄 합금 |
1.가공용 알루미늄합금
2.내식성 알루미늄합금
3.고강도 알루미늄합금
4.기타 알루미늄합금 |
|
57 |
스텐레스강 종별 특성 및 용도(1) |
1.STS 304
2.STS 304L
3.STS 301
4.STS 316
5.STS 316 L
6.STS 305
7.STS 321
8.STS 430
9.STS 434 |
|
58 |
스텐레스강 생산공정 |
스텐레스강 생산공정 |
|
59 |
동,동합금관,스텐레스관 생산공정 |
1.동,동합금관 생산공정
2.스텐레스관 생산공정 |
|
60 |
함침 |
1.함침 이란?
2.함침후 특성
3.함침 공정 |
|
61 |
금속분말 사출성형법(MIM법) |
1.금속분말 사출성형법(MIM법)의 개념
2.금속분말 사출성형법(MIM법)의 공정
3.금속분말 사출성형법(MIM법)의 장점
4.금속분말 사출성형법(MIM법)의 활용분야 |
|
62 |
탄소 |
1. 탄소의 정의
2. 흑연의 특징
3. 등방성 흑연의 제조방법
4. 흑연 발열체
5. EDM, PYROGRAPH
6. 흑연제품의 세척방법 |
|
63 |
철판망 |
1.철판망 이란?
2.제조방법
3.철판망 각부의 명칭
4.제품치수 허용오차
5.철판망이 중량계산법
6.철판망의 표면처리
7철판망의 생산가능 재질
8.제품소개
8-1.STANDARD 타입
8-2.GRATING 타입
8-3.FENCE 타입 |
|
64 |
전주 |
전주의 종류 |
|
65 |
스텐레스 후판 생산공정 |
스텐레스 후판 생산공정 |
|
66 |
스텐레스 강 |
1.스텐레스강 의 정의
2.스텐레스강 의 개발역사
3.스텐레스강 의 분류
4.스텐레스강 의 특성
5.스텐레스 의 부식특성
6.스텐레스의 종류
6-1.304 계열
6-2.316 계열
6-3.기타
6-4.DUPLEX |
|
67 |
나노분말 |
1. 개요
2. 현황
3. 전망 |
|
68 |
공압서보 컨트롤 밸브 |
1.구성요소
2.기능 및 특성
3.명령신호 특성
4.출력신호 특성
5.제어방법
6.써보밸브의 특성곡선
7.공압써보밸브의 장점및 비교데이타
8.공압써보밸브의 기본회로
9.공압써보밸브의 배선도
10.유체써보의 회로구성도
11.적용사례 |
|
69 |
탄소 |
1.탄소의 정의
2.흑연의 특징
3.등방성 흑연의 제조공정
4.흑연발열체
5.제품종류 |
|
70 |
코팅흑연 |
1.PERMA KOTE(Sic-Coated Graphite)
1-1.물리적 특성
1-2.사양
2.GLASTIX KOTE
2-1.특징및용도
2-2.GLASTIX KOTE의 단면
3.PYRO GRAHPH
3-1.특징및용도
3-2.물리적 특성
4.TS처리재(Mechanical Seal용)
4-1.특징및용도
4-2.물리적 특성
|
|
71 |
주철관 |
1.주철관의 역사
2.주철관및 이형관의 장점 |
|
72 |
초경합금 |
1.생산공정
2.생산제품
2-1.반도체부품 제조용
2-2.각종판재
2-3.포토,플런저
2-4.단조금형
2-5.분말성형금형
2-6.롤
2-7.인발및압출금형
2-8.디스크
2-9.초경절삭공구 팁
2-10.비트,보링공구 팁
2-11.섬유제조용 공구
|
|
73 |
산화철 |
1.산화철 이란?
2.제조방법
3.페라이트 란?
4.산화철 안료
4-1.산화철계 안료
4-2.산화철안료의 색상
4-3.콘크리트 착색제
5.물질안전 보건자료
5-1.화학제품 정보
5-2.성분.함유량 및 관련정보
5-3.유해 및 위험성
5-4.응급조치 요령
5-5.폭발.화재시 대처 방법
5-6.누출사고시 대처방법
5-7.취급 및 저장방법
5-8.노출방지 및 보호구 관련 정보
5-9.물리.화학적 정보
5-10.안전성 및 반응성
5-11.독성에 관한 정보
5-12.환경영향 정보
5-13.폐기시 주의사항
5-14.운송에 필요한 사항
5-15.법규에 관한 사항
5-16.기타 참고사항
|
|
74 |
페라이트 |
1.페라이트 란?
2.페라이트의 구조
3.결정 구조와 자성(보자력)과의 관계 |
|
75 |
자동차재료의 종류 |
1.철강재료
2.비철금속 재료
3.비금속 재료
4.플라스틱 재료
5.자동차용 신소재 |
|
76 |
동및동합금 코일 생산과정 애니메이션 |
|
|
77 |
특수내마모강판 |
1.서 론
2.특 징
3.제작공정
4.종 류
5.내마모성 비교
6.강종별 물성치 비교
7.용접시 준비사항
7-1.예열처리
7-2.용접시공
7-3.후열처리
8.가공
|
|
78 |
티타늄과티타늄 합금 |
1.Ti의 생산
2.Ti의 성질
3.Ti합금
4.Ti및 Ti합금의 열처리
4-1.응력 제거 처리(stress relieving)
4-2.어닐링
4-3.용체화 처리와 시효 처리
1)용체화 처리
2)급랭 처리
3)시효 처리
4)특수 열처리
①용체화 처리와 과시효
②재결정 어닐링
③베타 어닐링
4-4.후처리 |
|
79 |
내식성비교 |
1.티타늄(TITANIUM)
2.지르코늄(ZIRCONIUM)
3.HASTELLOY-C
4.316 STAINLESS |
|
80 |
니켈합금표 |
1.주성분
2.밀 도
3.인장강도
4.항복강도
5.경도 |
|
81 |
지르코늄(2) |
1.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1-1.ZIRCADYNE ALLOYS
1-2.고온에서의 특성
1-3.피로한계
2.MACHINING,FORMING AND JOINING
2-1.MACHINING
2-1-1.TURNING AND BORING
2-1-2.MILLING
2-1-3.DRILLING
2-1-4.FORMING
2-1-5.PUNCHING
2-1-6.GAS CUTTING
2-1-7.TUBE BENDING
2-1-8.HEAT TRECTMENT
2-1-9.WELDING
3.ZIRCONIUM용도
|
|
82 |
비철금속 |
1.비철 금속의 제조 공정
2.구리와 그 합금
3.알루미늄과 그 합금
4.마그네슘과 그 합금
5.니켈과 그 합금
6.화이트 메탈
7.초경 합금
|
|
83 |
신 소재 |
1.형상기억 합금
2.제진 합금
3.비정질 금속
4.복합 재료
5.초전도 재료
6.초소성 재료
7. 열전 재료
|
|
84 |
동 |
1.동의 역사
2.내식성
3.동의 색상
4.열 전도성
5.경제성
6.동과 건강
7.동과 위생
8.동과 산업
9.가공성 |
|
85 |
비철금속 생산공정 |
1.용해로
2.보온로
3.냉각시스템
4.인출기
5.절단기
6.컨베어시스템 |
|
86 |
신 금속재료 |
1.서론
2.가볍고 강한 신금속 재료
3.금속 분말로 만드는 자동차 부품
4.금속에 도전하는 플라스틱
5.미래의 첨단 구조재료-복합재료
6.엔진 효율을 향상시키는 세라믹스
7.신기한 기능을 발휘하는 신소재
8.첨단 자동차의 두뇌 마이크로 전자용 신소재
9.무공해 연료를 만드는 신소재 |
|
87 |
금속분말로 만드는 자동차 부품 |
1.개요
2.분말야금 제품의 제조공정
3.분말야금 소결제품이 적용되는 자동차 부품
4.철분말로 만드는 자동차 부품
5.소결 알루미늄합금
|
|
88 |
금속 신소재 |
1.신금속 또는 금속 신소재란 무엇인가?
2.금속재료의 특성
3.첨단기술재료와 신성형 방법을 위한 분말공정
4.스테인레스강 ; 성장하는 재료는 신소재다
5.금속기 복합재료(MMC)
6.우주선에 사용되는 신금속 재료
7.고융점 금속 ; 우주시대 새롭게 각광받는 고온재료
8.경량합금
9.금속간 화합물
10.전자포장재료
11.형상기억합금
12.수소저장합금
13.미래의 재료기술 |
|
89 |
스텐레스 강의 분류 |
1.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2.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3.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
4.이상계 스테인레스강
5.석출경화계 스테인레스강 |
|
90 |
스텐레스강 종별 특성 및 용도(2) |
1.STS 304
2.STS 304L
3.STS 309S
4.STS 310S
5.STS 316
6.STS 316 L
7.STS 305
8.STS 317
9.STS 321
10.STS 410
11.STS 430 |
|
91 |
스텐레스 열연제품의 주요결함 |
1.제강성스리버
2.이중관
3.대리석 무늬
4.개재물
5.열연마찰흠
6.열연긁힌흠
7.구멍
8.코일러에긁힌흠
9.슬리버
10.딱지흠
|
|
92 |
스텐레스 냉연제품의 주요결함 |
1.간지압착
2.소둔 Scale 잔류
3.이물압입
4.귀터짐
5.오일자국
6.롤마크
7.롤정지마크
8.진동홈
9.마찰흠
10.긁힌흠
|
|
93 |
동 |
1.동의 질별별 특성
가.타프피치 동
나.인탈산 동
다.무산소 동
2.동의역사
3.동의특징
4.동의 생산공정 |
|
94 |
형상기억합금 |
1.정의
2.개요
3.용도
4.특징
5.메카니즘
6.용도
형상기억합금
초탄성합금
7.특성
화학성분과 형상기억온도
기계적 성질
물질의 성질의 비교
|
|
95 |
각종금속의 종류와존재,성질,제조법,용도 |
1.Titanium
2.Nikel
3.Hastelloy
4.Inconel
5.Molybdenum
6.Zirconium
7.Tungsten
8.Tantalum
9.Chromium
|
|
96 |
비철금속 습식제련 |
1 서설
1.1 습식제련의 정의
1.2 적용대상
1.3 습식제련의 일반적인 공정순서
1.4 습식제련 반응의 기초
1.5 이온활동도 - pH diagram
[1] Oxide 용해 (침출반응)
[2] Sulfide 용해(침출)
2 각 공정에 대한 설명
2.1 예비처리
2.2 침출
2.3 고액분리
2.4 정액
2.5 농축
2.6 금속 채취 또는 화합물 채취
3. 침출
3.1 침출의 정의
3.2 침출법의 분류
[1] 용매에 의한 분류
[2] 방법에 따른 분류(침출 온도 및 압에 의한 분류)
3.3 침출시, 용매가 갖추어야 할 조건
3.4 산침출, 알칼리 침출의 비교
3.5 침출 Mechanism 및 침출속도 증가방안
3.6 침출의 대상에 따른 분류 및 설명
[1] 금속의 침출
[2] 산화물 침출
[3] 황화물 침출
4 고액분리
4.1 분급(classification) ; 입자 상호간의 분별
4.2 여과
4.3 세척(세정)
5. 정액 & 6. 농축
5.1 가수분해
5.2 공침
5.3 침전제 첨가 : 침전제를 첨가하여 화합물 형성 제거
5.4 환원
5.5 이온교환 수지법
5.6 용매추출법
[1] 추출
[2] 역추출
[3] 추출제 조건
7. 금속채취 및 화합물 채취
7.1 화학적 채취
[1] 치환채취
[2] 환원채취
[3] 결정화
7.2 전해채취
8 폐수처리
8.1 물리적 처리
[1] Screen법, 여과법
[2] 침강법, 부상법
[3] 폭기(aeration)
8.2 화학적 처리
8.3 생물학적 처리
|
|
97 |
금속(비철) 제련(1) |
1. 서론
1.1 금속 제련의 개요
1.1.1 Crust(지각)중의 성분 원소 생산량, 사용량 순서
1.1.2 주요 금속의 생산량과 가격. (산업으로서의 성립요건)
1.1.3 원소(element) 분류.(제련적 성질 고려)
1.1.4 환원법(제련법)
1) 건식제련(Pyrometallurgy)
2) 습식제련(Hydrometallurgy)
3) 전해제련(Electrometallurgy)
1.1.5 환원제
1) C 환원제
2) 수소 환원제
3) 금속 환원제
4) 열해리법(Thermal decomposition)
5) 수용액중 환원
1.1.6 제련조작
1) 건식제련(Pyrometallurgy)
2) 습식제련(Hydrometallurgy)
3) 전해제련(Electrometallurgy)
1.1.7 광석의 종류(원소들의 결합상태)
1) Metal(Crude metal)
2) Oxide(산화광)
3) Sulfide(황화광)
|
|
98 |
금속(비철) 제련(2) |
1.2. 제련반응의 열역학적 평가
1.2.1 평형론적인 관점
1.2.2 Oxide 환원반응
진공 용해의 이용원리
환원방법
1.2.3 황화광의 환원반응
|
|
99 |
금속(비철) 제련(3) |
광석의 예비처리
2.1. 광석과 선광
2.1.1 광석
2.1.2 선광
1) 수선법(hand picking)
2) 비중선광법(gravity separation)
3) 부유선광(flotation)
4) 자력선광법(magnetic separation)
2.2. 건조 및 하소
2.2.1 건조
2.2.2 하소(calcination)
|
|
100 |
금속(비철) 제련(4) |
2.3. 배소(roasting) : 제련(초기)단계
2.3.1 배소의 조건
1) 열적 조건
2) 화학적 조건
3) 기계적 조건
2.3.2 배소반응 속도
2.3.3 배소 반응 단계
2.3.4 부심반응(Kernel roasting)
1) 산화배소(Oxidizing Roasting)
2) 황산화배소
3) 환원배소
2.3.5 배소로
1) 회전로(rotary kiln)
2) 연속로
3) flash배소로
4) 유체배소로
2.4 단광과소결
1) 단광
2) 펠레타이징
3) 소결(sintering) |
|
101 |
금속(비철) 제련(5) |
건식제련
3.1. 용융제련
3.1.1 전제조건
3.1.2 원료
1) 주원료
2) Flux
3) 환원제
3.1.3 생성물
1) Crude metal(조금속)
2) matte
3) Speiss
4) Slag
3.1.4 용융제련
3.1.5 용융금속의 조건에 대한 세부 설명
3.1.6 MATTE
3.1.7 Speiss
3.1.8 SLAG
비철제련 플로우차트
|
|
102 |
금속(비철) 제련(6) |
3.2. 산화물의 환원 용융제련
3.3. 황화광의 용융제련
3.3.1 황이나 산소 potential 그림에 의한 설명
3.3.2 황화광의 환원
3.3.3 황화광의 산화 제련
3.3.4 산화광의 황화
3.3.5 산화광 Matte 용련(황화 용련)
3.3.6 Matte의 산화 탈철과 조금속 전환
3.3.7 Matte 중 탈철과 Fe3O4거동
1) Slag 생성반응
2) FeO 와 Fe3O4거동
3.3.8 탈철 matte의 금속전환(Blister making stage)
1) 조동기
2) 완성기(finishing stage)
|
|
103 |
금속(비철) 제련(8):끝 |
3.6. 건식정련 (fire refining)
3.6.1 용리(liquation)에 의한 방법
1) 용융제련
I) 공정반응
II) 아공정 반응
III) 과공정 반응
2) Zone refining
I) 정상응고
3.6.2 증류법
3.6.3 제 3금속 첨가에 의한 정련
3.6.4 O2, S, Cl2 첨가에 의한 정련
1) 산화정련
2) 황화 정련
3) 염화 정련 ; 휘발제거
3.6.5 알칼리, 알칼리 토류 화합물 첨가
3.6.6 열해리에 의한 정련
3.7 배연처리(dust collection)
3.7.1 집진법
I) 중력 침강
II) 원심력 ; Cyclone(5 μ정도)
III) 여과 - bag filter (1 μ정도 미립자 포집)
IV) 전지 집진기(1 μ이하) - cottrell
V) 습식세정법(0.1 μ이하) - scrubber
3.7.2 Gas,열의 이용
I) 아황산 가스의 이용
II) 열의 이용
3.7.3 공해방지
|
|
104 |
금속(비철) 제련(7) |
3.4. 용융 제련로와 작업
1) 용광로(고로)
2) 반사로
3) 자용로
3.5. 환원 제련 및 휘발 제련
3.5.1 환원 제련
1) 기체 환원제
2) 고체 환원제
3) 금속 환원제
3.5.2 회발제련(g상에서 회수)
1) 금속화합물 증기압
2) 탄소에 의한 환원 휘발
수평 레토오트법
I. S. P. 법
기타 제련법
|
|
105 |
비철금속 전해제련 |
1 서론
1.1 전해 제련의 정의
1.2 전해 제련의 기초
전해에 관한 Faraday의 법칙
평형전위
분해전극
1.3 분극의 유형
① 활성화 분극
② 농도 분극
③ 저항 분극
④ 기계적 부동태
2 전해 채취
3 전해 정련
전해 정련과 전해 채취의 비교
4 용융염 전해
4.1 정의 및 대상
4.2 장단점
4.3 용융염 전해의 특이 현상
I) Metal fog(금속무)
II) Anode effect(양극효과)
수용액 전해와 용융염 전해의 비교
|
|
106 |
주요 비철금속의 제련법 |
1 금, 은 제련
1.1 습식제련
[I] 청화법
[II] Ag의 회수
[III] Au의 회수
1.2 건식제련(양극 slime처리)
2 동제련
2.1 건식제련
오토컴프법
2.2 습식제련
3 아연제련
3.1 건식제련
3.2 습식제련
I) 배소과정에서 일어나는 반응
II) 침출과정 반응
III) 정액과정
IV) 전해채취 과정
4 Al 제련(Bayer 법)
1) 보크사이트 중의 Al2O3 의 NaOH용액에 의한 용해
2) NaAlO2 의 가수분해 Al2O3 3H2O의 석출
3) Al2O3 3H2O의 가열, 탈수, Al2O3의 생성
4) 용융염 전해 |
|
107 |
알루미늄(3) |
1.알루미늄의 특성
2.알루미늄의 성질
3.알루미늄의 용도
4.가공용 알루미늄합금
5.내식성 알루미늄합금
6.고강도 알루미늄합금
7.기타 알루미늄합금
8.알루미늄의 표면처리
산화피막처리
광택처리
착색법
9.알루미늄의 소성가공
소성변형에 따른 소성가공
소성가공의 이용성질
냉간가공과열간가공
10.알루미늄의 압출
압출개념
특수압출
압출제품 결함
11.알루미늄코일 제작
|
|
108 |
열전 온도 제어 관련 |
고온 측정 방법
1. 온도 측정에는 2방식이 있다
각종 온도계와 사용온도 범위
2. 열전온도계
(1) 열전대
SEEBECK 효과
JIS 열전대의 종류와 사용 조건
(2) 보호관
(3) 보상도선과 기준접점
(4) 표시계기
3. 온도측정에서의 전기적 오차
(1) 계기 단독오차
(2) 측온체의 단독오차
(3) 보상도선의 오차
(4) 기준접점 온도 보상기의 단독오차
(5) 회로의 절연저항 저하에 따른 오차
(6) 전자유도에 의한 오차
(7) 외부저항의 변화에 의한 오차
4. 온도측정에 있어서의 열적 오차
(1) 열전도에 의한 오차
(2) 시간지연에 따른 오차
(3) 자기 가열에 의한 오차
(4) 복사열에 의한 오차
(5) 고속기류에 의한 오차
(6) 공기의 침입에 의한 오차
5. 온도제어법
(1) 2위치 제어
(2) 비례제어 (P 동작)
(3) PID제어
|
|
109 |
스텐레스 |
1.정의
녹이란 무엇인가?
녹의 방지책은 어떤 것이 있을까?
왜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해야 하나?
활용 범위
2.특성및용도
화학성분
기계적 성질
물리적 성질
3.첨가원소와역활
크롬(Cr)
니켈(Ni)
탄소(C)
질소(N)
몰리브데늄(Mo)
타이타니움(Ti)
니오븀(Nb)
4.부식
전면부식(全面腐蝕)
국부부식(局部腐蝕)
건식(乾蝕)
스테인리스강 부식의 종류
|
|
110 |
스텐레스 |
1.스텐레스 정의
녹이란 무엇인가?
그렇다면 이 녹의 방지책은 어떤 것이 있을까?
왜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해야 하나?
활용 범위
2.특성 및 용도
특성,용도
화학성분
기계적 성질
물리적 성질
3.첨가원소와 역할
크롬(Cr)
니켈(Ni)
탄소(C)
질소(N)
몰리브데늄(Mo)
타이타니움(Ti)
니오븀(Nb)
4.스텐레스 부식
전면부식(全面腐蝕)
국부부식(局部腐蝕)
건식(乾蝕)
스테인리스강 부식의 종류 |
|
111 |
티타늄(3) |
1.티타늄의 발견
티타늄의 역사 2.티타늄의 특성
3.티타늄의 제련
4.티타늄의 존재
5.티타늄의 기계가공 |
|
112 |
내열합금강 특성 |
1.서론
2.내열합금강의 분류
3.강화기구
4.시그미상 석출
5.내열합금강 특성
내열합금으로서 요구되는 조건
합금원소의 영향
내열합금의 화학성분 � 기계적 특성
크립파단 특성
6.결론
석유화학 공업에서의 고온장치와 구성재료
|
|
113 |
개질로 반응관의 손상과 수명예측 |
1. 서론
2. 개질로 반응관의 종류와 사용조건
2.1 개질로의 종류
2.2 개질로의 구조 및 사용조건
3. 개질로 반응관의 손상기구
3.1 크리프 손상
3.2 조직변화에 의한 강도 저하 및 취화
3.3 용접부의 열화
3.4 열응력
3.5 국부과열의 영향
3.6 주조조직의 영향
4. 수명예측법
4.1 튜브의 육안검사
4.2 금속학적 검사
4.3 파괴적 방법
4.4 해석적 방법
4.5 반응관 수명예측에 이용된 검사법과 검출현상
5. 결론
|
|
114 |
후렉시블 조인트 |
1.특징 및 구조
튜브( Stainless Tube)
브레이드(Ribbon&Wire Braid)
접속구
2.Flexible Tubes
3.Flexible Joint
4.Flexible METAL HOSE
5.Inter lock Hose
6.진공용 Bellows
7.플레시블 죠인트의 설치 방법 |
|
115 |
주철제품 사상 동영상 |
|
|
116 |
동 |
1.동의 특징
2.동의 가치
3.동과 생활 |
|
117 |
알루미늄관 |
1.특징
2.알루미늄 합금
3.사용용도
1000 SERIES
2000 SERIES
3000 SERIES
4000 SERIES
5000 SERIES
6000 SERIES
7000 SERIES
8000 SERIES
|
|
118 |
강관 |
1.특징
2.스케줄 번호
3.K.S에 정해진 강관 용도별 분류
배관용
열전달용
구조용
기타
|
|
119 |
알미늄의 용도 |
1.주조 및 합금공장 생산제품 및 용도
주조공장
합금공장
2.알루미늄 합금종류와 성질 |
|
120 |
연괴,연판 생산공정 |
연괴,연판 생산공정 |
|
121 |
스테인레스 강관 |
1.스테인레스 강관과 타 관종의 비교
특 징
2.스테인레스 강의 분류
오스테나이트계
페 라 이 트 계
마르텐사이트계
3.스테인레스 강관과 타관종의 비교
스테인레스 강관
동관
아연도강관
경질염화비닐관 |
|
122 |
강관 생산공정 |
강관 생산공정 |
|
123 |
동 제련(자용로 공법) |
1.개요
2.공정도
3.구성및특징
①정광버너
②Reaction Shaft
③Settler
④Tapholes
⑤Uptake
⑥자용로의 부대설비
|
|
124 |
동 제련(미쓰비시 공법) |
1.개요
2.공정도
3.구성및특징
①Smelting Furnace
②Electric Cleaning Furnace
③Converting Furnace |
|
125 |
동 전해정련 |
1.전기화학 기초
① 이 온 론
② 계면 현상
③ 전극반응론
2.전기분해
1) 기본 법칙
2) 전기분해
3) 전해정련
3.동의 전해정련
1) 전해과정중 불순물의 거동
4.전기동 생산
1) 전기동 생산기초
5.Conventional 공법
1) 개요
2) 공정소개
6.KIDD 공법
1) 개요
2) 공정소개
|
|
126 |
동 제련 |
1.동 제련의 개념
2.동광석,동정광
3.Matte Smelting
Matte Smelting의 이해
Matte
Slag
4.동 제련 공법
용광로 공법 (Blast Furnace)
반사로 공법 (Reverberatory Furnace Matte Smelting)
전기로 (Electric Furnace Matte Smelting)
노란다 공법과 떼니엔떼 공법 (Noranda and Teniente Process)
아이사 공법 (Isasmelt Vertical - Lance Smelting)
자용로 공법 (Flash Smelting)
미츠비시연속공법 (Mitsubishi Continuous Process)
|
|
127 |
동 제련(귀금속 공정) |
1.배소(Roasting) 기술
1) 배소공정 개요
배소로 개략도
2) 배소(Roasting)의 원리
2.TROF 조업
1) 개요
2) 조업
3.금·은 정제 (Gold & Silver Refining)
1) 개요
1) 은 공정
은공정 흐름도
2) 금 공정
4.전해조업
1) 은전해(Silver Electro Refining)
은 전해조 개략도
2) 금전해(Gold Electro Refining)
금 전해조 개략도
5.귀금속 공정
|
|
128 |
화성공정 |
1.화성분야 기초지식
1) 화학의 개요
2) 기초화학의 이해
2.황산공정
1) 개요
2) 공정 요약
황산공장 공정도
3.탈황공정
1) 개요
2) 공정요약
4.각종 탈황 Process 소개
1) Mg(OH)를 이용한 아황산가스 처리방법
2) Wellman-Load 탈황법
3) 마그네시아법(Magnasium-Gypsum Process)
5.PSA(PSA for semiconductor) 공정
1) 개요
2) 공정개요
6.L-SO/SO 공정
1) 개요
2) 공정개요
|
|
129 |
동 산업 |
1.동산업의 역사와역활
2.한국경제발전과 동산업의 위상
한국산업발전과 동의 주요 용도
동소비량 비교
3.국내 동산업의 구조
|
|
130 |
아연 |
1.아연잔재 처리기술
2.QSL 연제련 공법
3.아연-연제련 통합공정
4.반도체용 고순도 황산제조
5.아연정광 직접침출법
6.전해공장 기술개발
7.역삼투 정수설비 시스템
8.폐열회수 설비
9.유황잔재 연소기술 |
|
131 |
스테인레스 스틸 |
Fe-Cr Alloy
Fe-Cr-C alloy
Fe-Cr-Ni-C alloy
Types of Stainless Steel
FERRITIC GRADES
MARTENSITIC GRADES
|
|
132 |
동 |
1.동
전기동
정련동
탈산동
무산소동
2.동합금
황동(brass)
청동(bronze)
|
|
133 |
니켈 |
1.니켈
니켈캐소드
니켈크라운
니켈판
니켈+철의 합금
니켈+구리의 합금
니켈+크롬+기타의 합금 |
|
134 |
밸브의 종류 |
1.플랜지형 볼밸브
2.플랜지형 전기절연 볼밸브
3.매몰용접형 볼밸브
4.버터플라이 밸브(알미늄소재)
5.황동나사식 볼밸브
6.황동나사식 볼밸브(롱스템, 풀보아형, 보온형)
7.황동나사식 전기절연 볼밸브
8.스텐 나사식 볼밸브
9.청동 게이트 밸브
10.청동글로브 밸브(디스크밸브)
11.용기용 밸브
12.스트레인너
13.휴즈콕크
14.황동 디스크 밸브 |
|
135 |
밸브 |
1.머리말
2.수동 밸브
글로브 밸브(Globe Valve)
게이트 밸브(Gate valve)
플러그 밸브(Plug valve)
볼 밸브(Ball valves)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s)
핀치 밸브
2.자동 밸브(Automatic valves)
액튜에이터(Actuators)
전기식 액튜에이터(Electric Actuators)
전기유압식 액튜에이터(Electrohydraulic Actuators)
열동식 방열기(Thermostatic Radiator)
단좌 및 복좌 2방향 밸브(two-Way Valves)
3방향 밸브(Three-Way Valve)
특수 목적의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s)
제어 밸브의 유량 특성(control valve flow characteristics)
제어 밸브의 치수(Control Valve Sizing)
제어밸브의 응용 |
|
136 |
연판,연괴 생산공정 |
1.연판,연괴 생산공정
2.연판,연괴 |
|
137 |
칼의 생산과정 |
1. 칼의 재료
철(鐵)
구리 합금(合金)
금(金), 은(銀)
목재(木材)
사어피(沙魚皮)
2. 환도의 전통적인 제조과정
강철의 생산
칼날의 제작
칼집의 제작
칼자루의 제작
3. 일본도의 전통적인 제조과정
4. 현대의 칼 제조과정 (한국)
|
|
138 |
동 |
1.무산소동 (Oxygen-Free Copper)
2.타프피치동 (Tough Pitch Copper)
3.인탈산동 (Phosphorus Deoxidized Copper)
4.텔레늄동 (Tellurium Copper)
5.단동
6.황동
7.인청동
8.뇌관용동 (Detonator Brass)
9.주석동 (Tartar Brass)
10.베릴륨동 (Beryllium Brass) |
|
139 |
밸브 |
1. 개요
2. 밸브종류에 따른 특성
슬루스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공기밸브 |
|
140 |
Ni합금계의 이론적 특성 |
1.개 요
2.Ni합금계의 특성
Ni-Cu
Ni-Cu-Fe
Ni-Mo
Ni-Cr-Mo-W
Ni-Cr-Fe-Mo
Ni-Cr-Fe-Mo-Cu
Ni-Cr-Co-W
3.고온에서 내 산화성 비교 도표
|
|
출처: http://www.machineinfo.co.kr
1 솔레노이드밸브 작동원리 및종류 1.작동 원리
직동 밸브(Direct Acting Valve)
내부 파이롯트 작동 밸브(Internal Pilot Operated Valve)
수동 리셋 밸브(Manual Reset Valve)
2.솔레노이드 밸브의 종류
2 Way 밸브
3 Way 밸브
4 Way 밸브
3.솔레노이드 외함(Enclosures)
4.에폭시 성형 구조 솔레노이드 외함
5.에폭시 성형 구조 솔레노이드
6.외함의 분류 및 종류(Type)
7.위험 지역 솔레노이드 온도 범위 코드 2 솔레노이드밸브의 구조 1.솔레노이드밸브의 구조
최대 작동 압력 차
최소 작동 압력 차
안전 작동 압력
대기 온도 제한
1)최소 대기 온도
2)최대 대기 온도
2.솔레노이드 UL,CSA 규약
3.솔레노이드 코일 3 체크밸브 1.특징
2.면간거리와 중량비교
3.작동원리
4.설치방법
5.체결볼트 치수
6.주문법
7.수두손실 선도
8.용도
9.사용유체와 재질
10.모델선정에 필요한 사용조건 4 기능성합금(1) 1. 물리적 성질소재
가. 자성소재
경자성합금
연자성합금
나. 전도체 소재
열전합금
발열합금
본딩와이어
전극용합금
초전도합금
다. 항탄성소재
저열팽창합금
극저온합금
라. 형상기억소재
형상기억합금
마. 제진소재
제진합금
바. 초소성소재
초소성합금 5 기능성합금(2) 1.화학적 성질소재
가. 내산화성소재
내산화성합금
나. 에너지저장소재
수소저장합금
금속원자와 수소원자의 반응
2.기계적 성질소재
가. 경량소재
경량합금
Mg 합금의 부품제조 방법
금속기지 복합재
나. 표면개질소재
코팅합금
내마모합금
다. 내열소재
초합금 6 알루미늄합금 7 망간 8 망간강 9 리벳용 기계 리벳용 기계의 개요 리벳용 기계의 종류와 특징 10 결정구조 11 비철금속로 12 스테인리스 생산공정 13 알루미늄합금판의 재질및 용도 14 알루미늄의 각종특성 15 Chemical Etching 제조공정 16 Chemical Coloring 제조공정 17 Electro Polishing 제조공정 18 Mirror Polishing 제조공정 19 Vibrating 제조공정 20 Valex 제조공정 21 24K Gold Plating 제조공정 22 Art Inserting 제조공정 23 Bead Blasting 제조공정 24 주방기기생산공정 25 금속섬유(2) 메탈파이버란? 사용분야 금속섬유의 적용분야 메탈파이버의 특성 26 스텐레스제품 생산공정 스텐레스제품 생산공정 27 형강제품 제조공정 28 알루미늄 합금소재 제조공정 29 알루미늄(2) 1.알루미늄 역사
2.알루미늄 성질
3.알루미늄 용도 30 금속제련의 원리(광석의 제련예비처리) 1.광석의 제련예비처리
가.건조 및 하소
(1)하소(calcination)
(2)배소(roasting)
나.배소법의 종류
(1)산화법
(2)환원배소
(3)염화배소, 불화배소
(4)소오다배소
(5)배소로
(6)반사로
(7)회전로
(8)다단배소로
(9)플래쉬배소로(flash roaster)
(10)유동배소로
다.단광 및 소결
(1)단광(團鑛, briquetting)
(2)펠레타이징
(3)소결 31 금속제련의 원리(건식제련(乾式製鍊)) 1.용융제련(熔融製鍊)
(1)용련 생성물
가.매트(matte) / 스파이스(speise) 제련
(1)매트, 스파이스제련의 기본원리
(2)로(爐) 및 조업(操業)
(3)정저법 (top-and-bottom process orford process)
나.환원 및 휘발제련
(1)산화물의 환원
(2)휘발제련
다.건식정련(乾式精鍊)
(1)용리(溶離)에 의한 정련
(2)대정제(帶精製, Zone refining)
(3)제 3 금속의 첨가에 의한 정련
(4)증류에 의한 정련
(5)산소, 유황, 염소와 친화력의 차이 를 이용하는 방법
(6)열해리에 의한 정련
(7)기타 법에 의한 정련 32 금속제련의 원리(습식제련(濕式製鍊)) 1.반응열역학
가.표준자유에너지 및 평형상수
나.산화전위(酸化電位)
다.고상-액상간의 평형
라.물의 안정구역
마.전위-pH diagram(Pourbaix diagram)
2.침출반응속도(浸出反應速度)
가.확산율속반응 (diffusion controlled process)
나.중간형 반응속도
3.침출(leaching)
가.침출제
나.박테리아의 영향
4.침출법(浸出法)
가.현장침출(leaching in place)
나.힙(heap) 또는 덤프(dump)침출
다.배트(vat) 침출
라.교반식(攪拌式) 펄프침출
마.가압침출
5.고액분리(solid-liquid separation)
가.농축(thickening)
나.여과(filtration)
다정액(solution purification)
6.금속의 회수
가.금속이온의 가스환원
나.이온교환수지법 (ion-exchange extraction)
다.용매추출법 (solvent extraction technique) 33 금속제련의 원리(전해제련 및 정련) 1.전기분해의 원리
(1)반쪽전지반응
(2)파라데이의 법칙(Faraday’s law)
(3)전해조전압
가.용융염 전해
(1)알루미늄
나.전해정련
(2)동정련 34 금속제련의 원리(동제련) 1.서론
◆ 광석
◆ 동제련의 개념
2.예비처리
◆ 배소(roasting)
◆ 소결(sintering)
◆ 단광
3.매트용련
◆ 매트용련의 화학 ◆ 용광로 매트용련
◆ 반사로 매트용련
◆ 전기로 매트 용련
◆ 플래시 매트 용련
4.제동(製銅)
◆ 제동의 화학
5.조동연속제련법(continuous production of blister copper)
◆ 단단법(Single-step process)
◆ Noranda법
◆ Worca 법
◆ Mitsubishi 법
6.건식정련
◆ 반사로의 구조
◆ 조업
7.습식제련법
◆ 습식제련반응 35 금속제련의 원리(연제련) 1. 광석
가. 제련법의 분류 및 제련예비처리
◆ 연광소결의 화학
◆ 소결법
나. 용련법
◆ 용련로 내의 화학반응
◆ 용광로제련법
◆ I.S.F 제련법
◆ Lurgi 제련법
◆ BBU제련법
◆ 로의 직접제련법
다. 조연의 정련법
◆ 건식정련법
◆ 전해 정련법 36 금속제련의 원리(아연제련) 1. 광석
◆ 배소
◆ 배소로 및 배소조업
가. 습식제련법
◆ 침출
◆ 정액(purification)
◆ 전해
◆ 침출잔재처리법
나. 건식제련법
◆ 수직형 증류로에 의한 증류
◆ 전열증류에 의한 증류 37 금속제련의 원리(알루미늄제련) 1. 알루미늄 자원
◆ 원광석
가. Al2O3의 제조
◆ 알루미나
◆ Al2O3 제조법의 분류
◆ 소결물의 추출
나. Al 의 전해제련
◆ 전해 및 전해조건
◆ 전해로
◆ 전해 조업
◆ Al 지금(地金)
다. Al의 정련
◆ 전해 정련 38 자동차부품 생산공정 1.차체부품
2.의장부품 39 주철관 생산공정 주철관 생산공정 40 스텐레스 강관 1.스텐레스 강관 생산공정
2.치수 허용차및 공급강종
3.표면처리
4.특징및 중량계산공식
5.제품규격에 따른 특성 및 용도 41 압출식 PE강관 생산공정 압출식 PE강관 생산공정 42 BP강관 생산공정 BP강관 생산공정 43 SP강관 생산공정 SP강관 생산공정 44 도복장 강관 생산공정 도복장 강관 생산공정 45 금속분말 1.개요
2.제조방법
3.종류
4.브레이징용 분말의개요
5.브레이징용 분말의종류 46 알루미늄(1) 1.알루미늄의 특성
2.알루미늄의 성질
3.알루미늄 합금의 분류 및 특성
4.알루미늄(AL) 합금별 용도
5.알루미늄 합금의 분류 방법
6.알루미늄(AL) 합금 주조재의 화학 성분
7.알루미늄(AL) 합금 전신재의 화학 성분
8.알루미늄(AL) 합금 질 규격(JIS) 47 알루미늄의 물리적 특성및 용도 알루미늄의 물리적 특성및 용도 48 알루미늄 중량 계산법 알루미늄 중량 계산법 49 티타늄(1) 1.소개
2.특징
3.내식성 DATA
4.용도
5.SPEC
6.생산공정 50 티타늄(2) 1.티타늄의 생산공정
2.티타늄의 특성
3.티타늄의 응용
4.티타늄의 스펙및기계적특성 51 지르코늄 1.소개
2.Spec
3.내식성DATA 52 니켈 1.소개 2.니켈 합금의 특성 3.HASTELLOY 합금 4.내식성DATA 53 금속섬유(1) 1.금속섬유의 개요
2.금속섬유의 특징
3.금속섬유의 조직구조및 굵기비교
4.금속섬유 소결품의 특성
5.금속섬유의 생산공정및제품형태 54 스테레스강 스테인레스강 이란? 55 스텐레스 판 1.표면 상태 및 가공방법
2.용 도 56 알루미늄 합금 1.가공용 알루미늄합금
2.내식성 알루미늄합금
3.고강도 알루미늄합금
4.기타 알루미늄합금 57 스텐레스강 종별 특성 및 용도(1) 1.STS 304
2.STS 304L
3.STS 301
4.STS 316
5.STS 316 L
6.STS 305
7.STS 321
8.STS 430
9.STS 434 58 스텐레스강 생산공정 스텐레스강 생산공정 59 동,동합금관,스텐레스관 생산공정 1.동,동합금관 생산공정
2.스텐레스관 생산공정 60 함침 1.함침 이란?
2.함침후 특성
3.함침 공정 61 금속분말 사출성형법(MIM법) 1.금속분말 사출성형법(MIM법)의 개념
2.금속분말 사출성형법(MIM법)의 공정
3.금속분말 사출성형법(MIM법)의 장점
4.금속분말 사출성형법(MIM법)의 활용분야 62 탄소 1. 탄소의 정의
2. 흑연의 특징
3. 등방성 흑연의 제조방법
4. 흑연 발열체
5. EDM, PYROGRAPH
6. 흑연제품의 세척방법 63 철판망 1.철판망 이란?
2.제조방법
3.철판망 각부의 명칭
4.제품치수 허용오차
5.철판망이 중량계산법
6.철판망의 표면처리
7철판망의 생산가능 재질
8.제품소개
8-1.STANDARD 타입
8-2.GRATING 타입
8-3.FENCE 타입 64 전주 전주의 종류 65 스텐레스 후판 생산공정 스텐레스 후판 생산공정 66 스텐레스 강 1.스텐레스강 의 정의
2.스텐레스강 의 개발역사
3.스텐레스강 의 분류
4.스텐레스강 의 특성
5.스텐레스 의 부식특성
6.스텐레스의 종류
6-1.304 계열
6-2.316 계열
6-3.기타
6-4.DUPLEX 67 나노분말 1. 개요
2. 현황
3. 전망 68 공압서보 컨트롤 밸브 1.구성요소
2.기능 및 특성
3.명령신호 특성
4.출력신호 특성
5.제어방법
6.써보밸브의 특성곡선
7.공압써보밸브의 장점및 비교데이타
8.공압써보밸브의 기본회로
9.공압써보밸브의 배선도
10.유체써보의 회로구성도
11.적용사례 69 탄소 1.탄소의 정의
2.흑연의 특징
3.등방성 흑연의 제조공정
4.흑연발열체
5.제품종류 70 코팅흑연 1.PERMA KOTE(Sic-Coated Graphite)
1-1.물리적 특성
1-2.사양
2.GLASTIX KOTE
2-1.특징및용도
2-2.GLASTIX KOTE의 단면
3.PYRO GRAHPH
3-1.특징및용도
3-2.물리적 특성
4.TS처리재(Mechanical Seal용)
4-1.특징및용도
4-2.물리적 특성 71 주철관 1.주철관의 역사
2.주철관및 이형관의 장점 72 초경합금 1.생산공정
2.생산제품
2-1.반도체부품 제조용
2-2.각종판재
2-3.포토,플런저
2-4.단조금형
2-5.분말성형금형
2-6.롤
2-7.인발및압출금형
2-8.디스크
2-9.초경절삭공구 팁
2-10.비트,보링공구 팁
2-11.섬유제조용 공구 73 산화철 1.산화철 이란?
2.제조방법
3.페라이트 란?
4.산화철 안료
4-1.산화철계 안료
4-2.산화철안료의 색상
4-3.콘크리트 착색제
5.물질안전 보건자료
5-1.화학제품 정보
5-2.성분.함유량 및 관련정보
5-3.유해 및 위험성
5-4.응급조치 요령
5-5.폭발.화재시 대처 방법
5-6.누출사고시 대처방법
5-7.취급 및 저장방법
5-8.노출방지 및 보호구 관련 정보
5-9.물리.화학적 정보
5-10.안전성 및 반응성
5-11.독성에 관한 정보
5-12.환경영향 정보
5-13.폐기시 주의사항
5-14.운송에 필요한 사항
5-15.법규에 관한 사항
5-16.기타 참고사항
74 페라이트 1.페라이트 란?
2.페라이트의 구조
3.결정 구조와 자성(보자력)과의 관계 75 자동차재료의 종류 1.철강재료
2.비철금속 재료
3.비금속 재료
4.플라스틱 재료
5.자동차용 신소재 76 동및동합금 코일 생산과정 애니메이션 77 특수내마모강판 1.서 론
2.특 징
3.제작공정
4.종 류
5.내마모성 비교
6.강종별 물성치 비교
7.용접시 준비사항
7-1.예열처리
7-2.용접시공
7-3.후열처리
8.가공 78 티타늄과티타늄 합금 1.Ti의 생산
2.Ti의 성질
3.Ti합금
4.Ti및 Ti합금의 열처리
4-1.응력 제거 처리(stress relieving)
4-2.어닐링
4-3.용체화 처리와 시효 처리
1)용체화 처리
2)급랭 처리
3)시효 처리
4)특수 열처리
①용체화 처리와 과시효
②재결정 어닐링
③베타 어닐링
4-4.후처리 79 내식성비교 1.티타늄(TITANIUM)
2.지르코늄(ZIRCONIUM)
3.HASTELLOY-C
4.316 STAINLESS 80 니켈합금표 1.주성분
2.밀 도
3.인장강도
4.항복강도
5.경도 81 지르코늄(2) 1.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1-1.ZIRCADYNE ALLOYS
1-2.고온에서의 특성
1-3.피로한계
2.MACHINING,FORMING AND JOINING
2-1.MACHINING
2-1-1.TURNING AND BORING
2-1-2.MILLING
2-1-3.DRILLING
2-1-4.FORMING
2-1-5.PUNCHING
2-1-6.GAS CUTTING
2-1-7.TUBE BENDING
2-1-8.HEAT TRECTMENT
2-1-9.WELDING
3.ZIRCONIUM용도 82 비철금속 1.비철 금속의 제조 공정
2.구리와 그 합금
3.알루미늄과 그 합금
4.마그네슘과 그 합금
5.니켈과 그 합금
6.화이트 메탈
7.초경 합금
83 신 소재 1.형상기억 합금
2.제진 합금
3.비정질 금속
4.복합 재료
5.초전도 재료
6.초소성 재료
7. 열전 재료
84 동 1.동의 역사
2.내식성
3.동의 색상
4.열 전도성
5.경제성
6.동과 건강
7.동과 위생
8.동과 산업
9.가공성 85 비철금속 생산공정 1.용해로
2.보온로
3.냉각시스템
4.인출기
5.절단기
6.컨베어시스템 86 신 금속재료 1.서론
2.가볍고 강한 신금속 재료
3.금속 분말로 만드는 자동차 부품
4.금속에 도전하는 플라스틱
5.미래의 첨단 구조재료-복합재료
6.엔진 효율을 향상시키는 세라믹스
7.신기한 기능을 발휘하는 신소재
8.첨단 자동차의 두뇌 마이크로 전자용 신소재
9.무공해 연료를 만드는 신소재 87 금속분말로 만드는 자동차 부품 1.개요
2.분말야금 제품의 제조공정
3.분말야금 소결제품이 적용되는 자동차 부품
4.철분말로 만드는 자동차 부품
5.소결 알루미늄합금 88 금속 신소재 1.신금속 또는 금속 신소재란 무엇인가?
2.금속재료의 특성
3.첨단기술재료와 신성형 방법을 위한 분말공정
4.스테인레스강 ; 성장하는 재료는 신소재다
5.금속기 복합재료(MMC)
6.우주선에 사용되는 신금속 재료
7.고융점 금속 ; 우주시대 새롭게 각광받는 고온재료
8.경량합금
9.금속간 화합물
10.전자포장재료
11.형상기억합금
12.수소저장합금
13.미래의 재료기술 89 스텐레스 강의 분류 1.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2.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강
3.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레스강
4.이상계 스테인레스강
5.석출경화계 스테인레스강 90 스텐레스강 종별 특성 및 용도(2) 1.STS 304
2.STS 304L
3.STS 309S
4.STS 310S
5.STS 316
6.STS 316 L
7.STS 305
8.STS 317
9.STS 321
10.STS 410
11.STS 430 91 스텐레스 열연제품의 주요결함 1.제강성스리버
2.이중관
3.대리석 무늬
4.개재물
5.열연마찰흠
6.열연긁힌흠
7.구멍
8.코일러에긁힌흠
9.슬리버
10.딱지흠 92 스텐레스 냉연제품의 주요결함 1.간지압착
2.소둔 Scale 잔류
3.이물압입
4.귀터짐
5.오일자국
6.롤마크
7.롤정지마크
8.진동홈
9.마찰흠
10.긁힌흠 93 동 1.동의 질별별 특성
가.타프피치 동
나.인탈산 동
다.무산소 동
2.동의역사
3.동의특징
4.동의 생산공정 94 형상기억합금 1.정의
2.개요
3.용도
4.특징
5.메카니즘
6.용도
형상기억합금
초탄성합금
7.특성
화학성분과 형상기억온도
기계적 성질
물질의 성질의 비교 95 각종금속의 종류와존재,성질,제조법,용도 1.Titanium
2.Nikel
3.Hastelloy
4.Inconel
5.Molybdenum
6.Zirconium
7.Tungsten
8.Tantalum
9.Chromium
96 비철금속 습식제련 1 서설
1.1 습식제련의 정의
1.2 적용대상
1.3 습식제련의 일반적인 공정순서
1.4 습식제련 반응의 기초
1.5 이온활동도 - pH diagram
[1] Oxide 용해 (침출반응)
[2] Sulfide 용해(침출)
2 각 공정에 대한 설명
2.1 예비처리
2.2 침출
2.3 고액분리
2.4 정액
2.5 농축
2.6 금속 채취 또는 화합물 채취
3. 침출
3.1 침출의 정의
3.2 침출법의 분류
[1] 용매에 의한 분류
[2] 방법에 따른 분류(침출 온도 및 압에 의한 분류)
3.3 침출시, 용매가 갖추어야 할 조건
3.4 산침출, 알칼리 침출의 비교
3.5 침출 Mechanism 및 침출속도 증가방안
3.6 침출의 대상에 따른 분류 및 설명
[1] 금속의 침출
[2] 산화물 침출
[3] 황화물 침출
4 고액분리
4.1 분급(classification) ; 입자 상호간의 분별
4.2 여과
4.3 세척(세정)
5. 정액 & 6. 농축
5.1 가수분해
5.2 공침
5.3 침전제 첨가 : 침전제를 첨가하여 화합물 형성 제거
5.4 환원
5.5 이온교환 수지법
5.6 용매추출법
[1] 추출
[2] 역추출
[3] 추출제 조건
7. 금속채취 및 화합물 채취
7.1 화학적 채취
[1] 치환채취
[2] 환원채취
[3] 결정화
7.2 전해채취
8 폐수처리
8.1 물리적 처리
[1] Screen법, 여과법
[2] 침강법, 부상법
[3] 폭기(aeration)
8.2 화학적 처리
8.3 생물학적 처리
97 금속(비철) 제련(1) 1. 서론
1.1 금속 제련의 개요
1.1.1 Crust(지각)중의 성분 원소 생산량, 사용량 순서
1.1.2 주요 금속의 생산량과 가격. (산업으로서의 성립요건)
1.1.3 원소(element) 분류.(제련적 성질 고려)
1.1.4 환원법(제련법)
1) 건식제련(Pyrometallurgy)
2) 습식제련(Hydrometallurgy)
3) 전해제련(Electrometallurgy)
1.1.5 환원제
1) C 환원제
2) 수소 환원제
3) 금속 환원제
4) 열해리법(Thermal decomposition)
5) 수용액중 환원
1.1.6 제련조작
1) 건식제련(Pyrometallurgy)
2) 습식제련(Hydrometallurgy)
3) 전해제련(Electrometallurgy)
1.1.7 광석의 종류(원소들의 결합상태)
1) Metal(Crude metal)
2) Oxide(산화광)
3) Sulfide(황화광)
98 금속(비철) 제련(2) 1.2. 제련반응의 열역학적 평가
1.2.1 평형론적인 관점
1.2.2 Oxide 환원반응
진공 용해의 이용원리
환원방법
1.2.3 황화광의 환원반응 99 금속(비철) 제련(3) 광석의 예비처리
2.1. 광석과 선광
2.1.1 광석
2.1.2 선광
1) 수선법(hand picking)
2) 비중선광법(gravity separation)
3) 부유선광(flotation)
4) 자력선광법(magnetic separation)
2.2. 건조 및 하소
2.2.1 건조
2.2.2 하소(calcination)
100 금속(비철) 제련(4) 2.3. 배소(roasting) : 제련(초기)단계
2.3.1 배소의 조건
1) 열적 조건
2) 화학적 조건
3) 기계적 조건
2.3.2 배소반응 속도
2.3.3 배소 반응 단계
2.3.4 부심반응(Kernel roasting)
1) 산화배소(Oxidizing Roasting)
2) 황산화배소
3) 환원배소
2.3.5 배소로
1) 회전로(rotary kiln)
2) 연속로
3) flash배소로
4) 유체배소로
2.4 단광과소결
1) 단광
2) 펠레타이징
3) 소결(sintering) 101 금속(비철) 제련(5) 건식제련
3.1. 용융제련
3.1.1 전제조건
3.1.2 원료
1) 주원료
2) Flux
3) 환원제
3.1.3 생성물
1) Crude metal(조금속)
2) matte
3) Speiss
4) Slag
3.1.4 용융제련
3.1.5 용융금속의 조건에 대한 세부 설명
3.1.6 MATTE
3.1.7 Speiss
3.1.8 SLAG
비철제련 플로우차트 102 금속(비철) 제련(6) 3.2. 산화물의 환원 용융제련
3.3. 황화광의 용융제련
3.3.1 황이나 산소 potential 그림에 의한 설명
3.3.2 황화광의 환원
3.3.3 황화광의 산화 제련
3.3.4 산화광의 황화
3.3.5 산화광 Matte 용련(황화 용련)
3.3.6 Matte의 산화 탈철과 조금속 전환
3.3.7 Matte 중 탈철과 Fe3O4거동
1) Slag 생성반응
2) FeO 와 Fe3O4거동
3.3.8 탈철 matte의 금속전환(Blister making stage)
1) 조동기
2) 완성기(finishing stage) 103 금속(비철) 제련(8):끝 3.6. 건식정련 (fire refining)
3.6.1 용리(liquation)에 의한 방법
1) 용융제련
I) 공정반응
II) 아공정 반응
III) 과공정 반응
2) Zone refining
I) 정상응고
3.6.2 증류법
3.6.3 제 3금속 첨가에 의한 정련
3.6.4 O2, S, Cl2 첨가에 의한 정련
1) 산화정련
2) 황화 정련
3) 염화 정련 ; 휘발제거
3.6.5 알칼리, 알칼리 토류 화합물 첨가
3.6.6 열해리에 의한 정련
3.7 배연처리(dust collection)
3.7.1 집진법
I) 중력 침강
II) 원심력 ; Cyclone(5 μ정도)
III) 여과 - bag filter (1 μ정도 미립자 포집)
IV) 전지 집진기(1 μ이하) - cottrell
V) 습식세정법(0.1 μ이하) - scrubber
3.7.2 Gas,열의 이용
I) 아황산 가스의 이용
II) 열의 이용
3.7.3 공해방지 104 금속(비철) 제련(7) 3.4. 용융 제련로와 작업
1) 용광로(고로)
2) 반사로
3) 자용로
3.5. 환원 제련 및 휘발 제련
3.5.1 환원 제련
1) 기체 환원제
2) 고체 환원제
3) 금속 환원제
3.5.2 회발제련(g상에서 회수)
1) 금속화합물 증기압
2) 탄소에 의한 환원 휘발
수평 레토오트법
I. S. P. 법
기타 제련법 105 비철금속 전해제련 1 서론
1.1 전해 제련의 정의
1.2 전해 제련의 기초
전해에 관한 Faraday의 법칙
평형전위
분해전극
1.3 분극의 유형
① 활성화 분극
② 농도 분극
③ 저항 분극
④ 기계적 부동태
2 전해 채취
3 전해 정련
전해 정련과 전해 채취의 비교
4 용융염 전해
4.1 정의 및 대상
4.2 장단점
4.3 용융염 전해의 특이 현상
I) Metal fog(금속무)
II) Anode effect(양극효과)
수용액 전해와 용융염 전해의 비교 106 주요 비철금속의 제련법 1 금, 은 제련
1.1 습식제련
[I] 청화법
[II] Ag의 회수
[III] Au의 회수
1.2 건식제련(양극 slime처리)
2 동제련
2.1 건식제련
오토컴프법
2.2 습식제련
3 아연제련
3.1 건식제련
3.2 습식제련
I) 배소과정에서 일어나는 반응
II) 침출과정 반응
III) 정액과정
IV) 전해채취 과정
4 Al 제련(Bayer 법)
1) 보크사이트 중의 Al2O3 의 NaOH용액에 의한 용해
2) NaAlO2 의 가수분해 Al2O3 3H2O의 석출
3) Al2O3 3H2O의 가열, 탈수, Al2O3의 생성
4) 용융염 전해 107 알루미늄(3) 1.알루미늄의 특성
2.알루미늄의 성질
3.알루미늄의 용도
4.가공용 알루미늄합금
5.내식성 알루미늄합금
6.고강도 알루미늄합금
7.기타 알루미늄합금
8.알루미늄의 표면처리
산화피막처리
광택처리
착색법
9.알루미늄의 소성가공
소성변형에 따른 소성가공
소성가공의 이용성질
냉간가공과열간가공
10.알루미늄의 압출
압출개념
특수압출
압출제품 결함
11.알루미늄코일 제작
108 열전 온도 제어 관련 고온 측정 방법
1. 온도 측정에는 2방식이 있다
각종 온도계와 사용온도 범위
2. 열전온도계
(1) 열전대
SEEBECK 효과
JIS 열전대의 종류와 사용 조건
(2) 보호관
(3) 보상도선과 기준접점
(4) 표시계기
3. 온도측정에서의 전기적 오차
(1) 계기 단독오차
(2) 측온체의 단독오차
(3) 보상도선의 오차
(4) 기준접점 온도 보상기의 단독오차
(5) 회로의 절연저항 저하에 따른 오차
(6) 전자유도에 의한 오차
(7) 외부저항의 변화에 의한 오차
4. 온도측정에 있어서의 열적 오차
(1) 열전도에 의한 오차
(2) 시간지연에 따른 오차
(3) 자기 가열에 의한 오차
(4) 복사열에 의한 오차
(5) 고속기류에 의한 오차
(6) 공기의 침입에 의한 오차
5. 온도제어법
(1) 2위치 제어
(2) 비례제어 (P 동작)
(3) PID제어 109 스텐레스 1.정의
녹이란 무엇인가?
녹의 방지책은 어떤 것이 있을까?
왜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해야 하나?
활용 범위
2.특성및용도
화학성분
기계적 성질
물리적 성질
3.첨가원소와역활
크롬(Cr)
니켈(Ni)
탄소(C)
질소(N)
몰리브데늄(Mo)
타이타니움(Ti)
니오븀(Nb)
4.부식
전면부식(全面腐蝕)
국부부식(局部腐蝕)
건식(乾蝕)
스테인리스강 부식의 종류
110 스텐레스 1.스텐레스 정의
녹이란 무엇인가?
그렇다면 이 녹의 방지책은 어떤 것이 있을까?
왜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해야 하나?
활용 범위
2.특성 및 용도
특성,용도
화학성분
기계적 성질
물리적 성질
3.첨가원소와 역할
크롬(Cr)
니켈(Ni)
탄소(C)
질소(N)
몰리브데늄(Mo)
타이타니움(Ti)
니오븀(Nb)
4.스텐레스 부식
전면부식(全面腐蝕)
국부부식(局部腐蝕)
건식(乾蝕)
스테인리스강 부식의 종류 111 티타늄(3) 1.티타늄의 발견
티타늄의 역사 2.티타늄의 특성
3.티타늄의 제련
4.티타늄의 존재
5.티타늄의 기계가공 112 내열합금강 특성 1.서론
2.내열합금강의 분류
3.강화기구
4.시그미상 석출
5.내열합금강 특성
내열합금으로서 요구되는 조건
합금원소의 영향
내열합금의 화학성분 � 기계적 특성
크립파단 특성
6.결론
석유화학 공업에서의 고온장치와 구성재료 113 개질로 반응관의 손상과 수명예측 1. 서론
2. 개질로 반응관의 종류와 사용조건
2.1 개질로의 종류
2.2 개질로의 구조 및 사용조건
3. 개질로 반응관의 손상기구
3.1 크리프 손상
3.2 조직변화에 의한 강도 저하 및 취화
3.3 용접부의 열화
3.4 열응력
3.5 국부과열의 영향
3.6 주조조직의 영향
4. 수명예측법
4.1 튜브의 육안검사
4.2 금속학적 검사
4.3 파괴적 방법
4.4 해석적 방법
4.5 반응관 수명예측에 이용된 검사법과 검출현상
5. 결론 114 후렉시블 조인트 1.특징 및 구조
튜브( Stainless Tube)
브레이드(Ribbon&Wire Braid)
접속구
2.Flexible Tubes
3.Flexible Joint
4.Flexible METAL HOSE
5.Inter lock Hose
6.진공용 Bellows
7.플레시블 죠인트의 설치 방법 115 주철제품 사상 동영상 116 동 1.동의 특징
2.동의 가치
3.동과 생활 117 알루미늄관 1.특징
2.알루미늄 합금
3.사용용도
1000 SERIES
2000 SERIES
3000 SERIES
4000 SERIES
5000 SERIES
6000 SERIES
7000 SERIES
8000 SERIES
118 강관 1.특징
2.스케줄 번호
3.K.S에 정해진 강관 용도별 분류
배관용
열전달용
구조용
기타 119 알미늄의 용도 1.주조 및 합금공장 생산제품 및 용도
주조공장
합금공장
2.알루미늄 합금종류와 성질 120 연괴,연판 생산공정 연괴,연판 생산공정 121 스테인레스 강관 1.스테인레스 강관과 타 관종의 비교
특 징
2.스테인레스 강의 분류
오스테나이트계
페 라 이 트 계
마르텐사이트계
3.스테인레스 강관과 타관종의 비교
스테인레스 강관
동관
아연도강관
경질염화비닐관 122 강관 생산공정 강관 생산공정 123 동 제련(자용로 공법) 1.개요
2.공정도
3.구성및특징
①정광버너
②Reaction Shaft
③Settler
④Tapholes
⑤Uptake
⑥자용로의 부대설비
124 동 제련(미쓰비시 공법) 1.개요
2.공정도
3.구성및특징
①Smelting Furnace
②Electric Cleaning Furnace
③Converting Furnace 125 동 전해정련 1.전기화학 기초
① 이 온 론
② 계면 현상
③ 전극반응론
2.전기분해
1) 기본 법칙
2) 전기분해
3) 전해정련
3.동의 전해정련
1) 전해과정중 불순물의 거동
4.전기동 생산
1) 전기동 생산기초
5.Conventional 공법
1) 개요
2) 공정소개
6.KIDD 공법
1) 개요
2) 공정소개 126 동 제련 1.동 제련의 개념
2.동광석,동정광
3.Matte Smelting
Matte Smelting의 이해
Matte
Slag
4.동 제련 공법
용광로 공법 (Blast Furnace)
반사로 공법 (Reverberatory Furnace Matte Smelting)
전기로 (Electric Furnace Matte Smelting)
노란다 공법과 떼니엔떼 공법 (Noranda and Teniente Process)
아이사 공법 (Isasmelt Vertical - Lance Smelting)
자용로 공법 (Flash Smelting)
미츠비시연속공법 (Mitsubishi Continuous Process) 127 동 제련(귀금속 공정) 1.배소(Roasting) 기술
1) 배소공정 개요
배소로 개략도
2) 배소(Roasting)의 원리
2.TROF 조업
1) 개요
2) 조업
3.금·은 정제 (Gold & Silver Refining)
1) 개요
1) 은 공정
은공정 흐름도
2) 금 공정
4.전해조업
1) 은전해(Silver Electro Refining)
은 전해조 개략도
2) 금전해(Gold Electro Refining)
금 전해조 개략도
5.귀금속 공정
128 화성공정 1.화성분야 기초지식
1) 화학의 개요
2) 기초화학의 이해
2.황산공정
1) 개요
2) 공정 요약
황산공장 공정도
3.탈황공정
1) 개요
2) 공정요약
4.각종 탈황 Process 소개
1) Mg(OH)를 이용한 아황산가스 처리방법
2) Wellman-Load 탈황법
3) 마그네시아법(Magnasium-Gypsum Process)
5.PSA(PSA for semiconductor) 공정
1) 개요
2) 공정개요
6.L-SO/SO 공정
1) 개요
2) 공정개요
129 동 산업 1.동산업의 역사와역활
2.한국경제발전과 동산업의 위상
한국산업발전과 동의 주요 용도
동소비량 비교
3.국내 동산업의 구조 130 아연 1.아연잔재 처리기술
2.QSL 연제련 공법
3.아연-연제련 통합공정
4.반도체용 고순도 황산제조
5.아연정광 직접침출법
6.전해공장 기술개발
7.역삼투 정수설비 시스템
8.폐열회수 설비
9.유황잔재 연소기술 131 스테인레스 스틸 Fe-Cr Alloy
Fe-Cr-C alloy
Fe-Cr-Ni-C alloy
Types of Stainless Steel
FERRITIC GRADES
MARTENSITIC GRADES 132 동 1.동
전기동
정련동
탈산동
무산소동
2.동합금
황동(brass)
청동(bronze) 133 니켈 1.니켈
니켈캐소드
니켈크라운
니켈판
니켈+철의 합금
니켈+구리의 합금
니켈+크롬+기타의 합금 134 밸브의 종류 1.플랜지형 볼밸브
2.플랜지형 전기절연 볼밸브
3.매몰용접형 볼밸브
4.버터플라이 밸브(알미늄소재)
5.황동나사식 볼밸브
6.황동나사식 볼밸브(롱스템, 풀보아형, 보온형)
7.황동나사식 전기절연 볼밸브
8.스텐 나사식 볼밸브
9.청동 게이트 밸브
10.청동글로브 밸브(디스크밸브)
11.용기용 밸브
12.스트레인너
13.휴즈콕크
14.황동 디스크 밸브 135 밸브 1.머리말
2.수동 밸브
글로브 밸브(Globe Valve)
게이트 밸브(Gate valve)
플러그 밸브(Plug valve)
볼 밸브(Ball valves)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s)
핀치 밸브
2.자동 밸브(Automatic valves)
액튜에이터(Actuators)
전기식 액튜에이터(Electric Actuators)
전기유압식 액튜에이터(Electrohydraulic Actuators)
열동식 방열기(Thermostatic Radiator)
단좌 및 복좌 2방향 밸브(two-Way Valves)
3방향 밸브(Three-Way Valve)
특수 목적의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s)
제어 밸브의 유량 특성(control valve flow characteristics)
제어 밸브의 치수(Control Valve Sizing)
제어밸브의 응용 136 연판,연괴 생산공정 1.연판,연괴 생산공정
2.연판,연괴 137 칼의 생산과정 1. 칼의 재료
철(鐵)
구리 합금(合金)
금(金), 은(銀)
목재(木材)
사어피(沙魚皮)
2. 환도의 전통적인 제조과정
강철의 생산
칼날의 제작
칼집의 제작
칼자루의 제작
3. 일본도의 전통적인 제조과정
4. 현대의 칼 제조과정 (한국) 138 동 1.무산소동 (Oxygen-Free Copper)
2.타프피치동 (Tough Pitch Copper)
3.인탈산동 (Phosphorus Deoxidized Copper)
4.텔레늄동 (Tellurium Copper)
5.단동
6.황동
7.인청동
8.뇌관용동 (Detonator Brass)
9.주석동 (Tartar Brass)
10.베릴륨동 (Beryllium Brass) 139 밸브 1. 개요
2. 밸브종류에 따른 특성
슬루스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공기밸브 140 Ni합금계의 이론적 특성 1.개 요
2.Ni합금계의 특성
Ni-Cu
Ni-Cu-Fe
Ni-Mo
Ni-Cr-Mo-W
Ni-Cr-Fe-Mo
Ni-Cr-Fe-Mo-Cu
Ni-Cr-Co-W
3.고온에서 내 산화성 비교 도표 141 Ni합금 내열강 1.개 요
2.INCONEL ALLOY 601
3.INCONEL ALLOY 607
4.INCONEL ALLOY 800
5.INCONEL ALLOY 800HT
6.INCONEL ALLOY DS 142 내열,내부식 니켈합금강 1.개 요
2.INCONEL ALLOY 600
3.INCONEL ALLOY 625
4.INCONEL ALLOY 718
5.INCONEL ALLOY X-750 143 내부식 니켈합금강 1.개 요
2.NICKEL200 계열
3.MONEL ALLOY 400
4.MONEL ALLOY K-500
5.INCOLOY ALLOY 825
6.INCOLOY ALLOY C-276
7.INCONEL ALLOY G-3
8.INCONEL ALLOY 20 144 강구조물 시공 1.용접 시공
2.용접 작업
용접 진행 방향에 따른 분류
다층 용접에 따른 분류
용접할 때 온도 분포
예열
3.용접 후 처리
잔류 응력 제거법
변형 방지법
변형의 교정
결함의 보수
보수 용접
4.용접부의 시험 및 검사
용접부의 검사
기계적 시험
화학적 시험
금속학적 시험
비파괴 시험
145 기타유도가열의 응용 (1)플라스틱 및 고무공업에 응용 (2)결정성장
(3)봉합작업 146 티타늄 인장성질 비교 147 티타늄 물리적 성질비교 148 티타늄 내식성 테이타 149 순수 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 제품별 규격 - 순수 티타늄 - 합금 티타늄 150 티타늄의 타금속과의 물리적성질 비교 1.타 금속재료와의 물리적 성질 비교 2. 순수티타늄 및 티타늄 합금의 인장성질 151 티타늄 제품별규격(ROUND BAR) - 순수 티타늄
- 합금 티타늄 152 티타늄 제품별규격(PIPE,TUBE) - 열교환기 및 배관용 순수 티타늄 - 열교환기 및 배관용 Pallaium 첨가합금 153 티타늄과 티타늄합금의 특성 ▶ 티타늄(Ti)의 특성 ▶ 각 재질별 물리적 성질의 비교표 ▶ 티타늄(Ti)의 합금 154 티타늄의 역사 및 소재 티타늄이란? 155 일반파형 강관 일반파형강관 특징 용도 연결 시공보조장비 시공방법 156 PL 파형강관 PL302파형강관(EM인증제품) PL301파형강관(EM인증제품) 재료규격 단면모양 및 치수규격 PL파형강관 종류 생산규격 157 수동밸브 작동 동영상 158 전동밸브 작동 동영상 159 밸브뒤축 확대 동영상 160 직동식 개발형 밸브 플래쉬 161 직동식 밀폐형밸브 플래쉬 162 파일롯형 밸브 플래쉬 163 유량조절형 밸브 플래쉬 164 캔 1.캔 개요
발달사
특징
종류
2.제조공정
원판
용기
제품
3.재활용흐름도
4.재활용현황및효과 165 솔레노이드 밸브 1.개요
액체.기체 솔레노이드 밸브
필터
5/2솔밸브의 코일 off 상태
5/2솔밸브의 코일 on 상태 |